영화 이야기

2019년 5월 13일 월요일

‘파리는 불타고 있는가?’


‘빛의 도시’ 파리하면 언뜻 생각나는 것들을 보자. 고다르의 ‘밴드 오브 아웃사이더스’에서 프란츠와 아르튀르와 오딜이 세계 신기록을 낸다며 뛰어다니면서 9분43초 만에 그림과 조각등 전시품들을 다 본 루브르미술관, 튀어나온 송곳니처럼 파리의 하늘을 찌르고 선 에펠탑, 강변에 앉은 연인들의 키스가 물결치는 센 강.
고다르의 ‘브레스리스’에서 단발의 진 시버그가 “뉴욕 헤럴드 트리뷴”하며 신문을 팔던 샹젤리제와 반전 작가 에릭 마리아 레마르크의 소설 제목인 개선문 그리고 얼마 전에 불이 난 노트르담성당.     
파리를 두 차례 찾았던 내가 애착을 느끼는 곳은 개선문 앞 샹젤리제에 있는 120년의 역사를 지닌 식당 푸켓(Fouquet’s)이다. 내가 이 식당을 처음 알게 된 것은 소설 ‘개선문’(Arch of Triumph)을 통해서다. 소설은 2차대전 직전 독일서 파리로 도망 온 불체자 의사 라빅과 역시 불체자로 배우 출신인 혼혈녀 조앙의 우수와 절망과 불안에 가득 찬 비극적 사랑을 그렸다.
라빅과 조앙이 자주 들렀던 곳이 푸켓이다. 둘은 여기서 시큼한 맛이 나는 사과브랜디 칼바도스를 즐겨 마셨는데 칼바도스는 둘의 육체적 사랑을 촉진시키는 최음제 구실을 한다. 소설은 샤를르 봐이에와 잉그릿 버그만 주연의 동명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나는 그 이후 파리하면 이 책과 영화에 나온 푸켓이 먼저 떠올라 2011년 로만 폴란스키를 인터뷰하러 파리에 들렀을 때 샹젤리제를 걸어 마침내 그 곳엘 들러 노변 테이블에 앉았다. 가르송에게 칼바도스를 시켜 프랑스 사람들이 즐기는 에스카르고(달팽이)를 안주 삼아 마시며 이방인의 소슬함에 취했던 기억이 난다.
이 때 들렀던 기차역 가르 뒤 노르(북 역)도 잊지 못할 곳이다. 만남과 헤어짐이 분주한 가르 뒤 노르는 메이-디셈버 로맨스영화로 게리 쿠퍼와 오드리 헵번이 나온 ‘하오의 연정’의 라스트신을 찍은 곳이다. 
내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는 파리의 또 다른 곳이 파리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인 센 강 위의 퐁 뇌프다. 폴란스키를 만나기 몇 년 전에 이 다리를 무대로 한 영화 ‘다리 위의 연인들’을 취재하러 간 것이 파리 초행이었다. 영화는 한 쪽 눈이 먼 화가 미셸(쥘리엣 비노쉬)과 퐁 뇌프를 집으로 삼고 사는 알코올 중독자인 거리의 곡예사 알렉스(드니 라방)와의 집념적인 사랑을 그린 것이다.           
센 강을 따라 걸어 황혼녘에 퐁 뇌프에 이르러 다리 위에서 주위를 살펴보니 저만치에 노트르담이 보인다. 내가 노트르담을 본 것은 이렇게 멀리에서였다. 노트르담에 가지 않고 다리 옆에 있는 카페 퐁 뇌프에 들러 위스키를 시켜 마셨다.
‘우리들의 성모’라는 뜻의 노트르담은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 Dame)와 이를 원작으로 한 동명영화로 더 유명해졌다. 여러 편의 영화 중에서도 가장 잘 만든 것이 찰스 로턴이 흉측하게 생긴 성당 종지기 콰지모도로 그리고 모린 오하라가 화끈하게 요염한 집시댄서인 에스메랄다로 나온 1939년 작 흑백작품이다. 성당 지붕의 괴물상 모습을 한 로턴이 뛰어난 연기를 하는데 소설과 달리 해피 엔딩이다.
영화는 1956년 앤소니 퀸과 이탈리아의 글래머 걸 지나 롤로브리지다 주연으로 리메이크 됐는데 전편만은 못하나 볼만은 하다. 이 영화는 소설처럼 비극으로 끝난다. ‘노트르담의 꼽추’는 이 밖에도 론 체이니 주연의 무성영화로도 만들어졌고 만화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노트르담은 이 밖에도 많은 영화에서 그 위용을 뽐냈다. 그런데 노트르담 화재 후 책 판매부수가 늘었다고 한다.
파리는 요즘 불타고 있다. 프랑스의 시민 시위대인 ‘노란 조끼’들이 시내에 나와 마크롱 대통령의 정부를 비난하는 격렬한 시위를 벌이면서 방화와 파괴를 하고 있는데 지난 3월에는 ‘노란 조끼‘들이 푸켓에 불을 지르고 내부를 때려 부셔, 그 처참한 모습(사진) 을 보자니 내 가슴에 서운함이 스며든다.
노트르담 화재 후 정부가 성당 복구를 위해 돈과 힘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선언하면서 대기업들이 거액의 후원금을 기부하자 20일 ‘노란 조끼’들이 이에 반감을 표시하면서 다시 폭력적인 시위를 벌였다. 한 시민은 “노트르담이 귀중한 것이긴 하지만 인간이 돌보다 더 중요하다”면서 시위의 이유를 밝혔다.
‘파리는 불타고 있는가?’(Is Paris Burning?)라는 영화도 있다. 미국과 프랑스의 기라성 같은 배우들이 나오는 영화로 2차대전 종말기 독일군이 파리에서 철수하기 전 노트르담과 에펠탑등 파리의 기념비적인 모든 것을 파괴하라는 히틀러의 명령과 이의 실행을 놓고 갈등하는 점령군 총사령관의 유사 기록영화 스타일의 작품이다.                     
‘카사블랑카’에서 이별이 안타까워  눈물을 흘리면서 “우리는 어떻게 하구요”라고 애소하는 일사를 릭은 “우리에겐 언제나 파리가 있을 거요”라며 달랬다. 일사와 릭 그리고 우리 모두의 낭만의 도시 파리가 불타지 않기를 바란다.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