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7년 8월 28일 월요일

악녀(The Villainess)


숙희가 자기 딸을 죽인 자가 타고 달리는  버스에 매달려 있다.


 ‘킬러 김옥빈’복수의 화신 열연... 피비린내 진동하는 살육 액션


가녀린 몸매에 예쁘장하게 생긴 김옥빈이 총과 칼과 도끼와 함께 손과 발 등 온 육신을 사용해 닥치는 대로 적을 살해하는 피바다 액션 스릴러로 그에 의해 황천으로 가는 남자들이 족히 백 명은 된다. 피가 끓는 살육과 복수의 영화로 장르 팬들이 박수갈채를 보낼만한데 손으로 들고 찍은 촬영과 쏜살같은 편집으로 인해 보면서 머리가 다 어질어질하다. 
선혈과 총격과 칼부림 그리고 격투를 잘 다루는 한국 액션영화의 특징을 그대로 갖추었고 지나치게 잔인한 또 다른 한국영화의 특성을 과시한 작품으로 한국영화의 결점인 상영시간이 2시간이 훨씬 넘는다. 그러나 플롯이 배배 꼬인 내용과 함께 기술적인 면과 연기 및 인물들의 개발이 잘 된 흥미진진한 영화로 김옥빈의 가공할 액션연기가 장관이다. 올 칸영화제 ‘미드나잇 스크리닝’ 출품작.
고도로 훈련된 킬러 숙희(옥빈)가 라이벌 갱의 본부를 침입해 좁은 복도를 따라가면서 갱 두목의 졸개들을 권총으로 사살하는 첫 장면부터 피비린내가 진동한다. ‘올드 보이’의 최민식의 살육을 연상케 하는 이 장면은 순전히 카메라의 눈으로 앞으로 이동하면서 찍었는데 아찔하다. 이어 숙희가 갱두목과 그의 보디가드들과 대결하는 장면에서 얼굴에 선혈이 잔뜩 묻은 숙희의 얼굴이 드러난다. 그리고 숙희는 경찰에 체포된다. 
숙희는 연변출신으로 어릴 때 자기가 보는 앞에서 아버지가 살해된 뒤 갱에 의해 키워지는데 그를 키워 일류 투사와 무자비한 킬러로 만든 사람은 갱 두목 중상(신하균). 그리고 숙희는 중상과 결혼을 하는데 중상이 신혼여행에서 살해되면서 숙희는 복수의 화신이 된다. 
한국의 정보부에 의해 자기도 모르게 성형수술을 당한 숙희는 인정사정없는 팀장 권숙(김서형)에 의해 자신이 임신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정보부를 위해 10년간만 일하면 자유의 몸으로 놓아주겠다는 제안을 받는다. 
그리고 킬러의 기술과 함께 연기를 공부한 숙희는 연수라는 가명으로 어린 딸 은혜와 함께 작은 아파트에 살면서 정보부의 행동지시를 기다린다. 연수의 이웃에 젊고 건장한 미남 현수(성준)가 사는데 숙희와 현수는 서로 마음이 이끌려 데이트를 시작한다. 그런데 현수는 숙희의 감시자.  
느닷없이 죽은 줄 알았던 중상이 숙희의 앞에 나타나면서 숙희는 극심한 혼란에 빠진다. 이어 숙희의 아파트에서 은혜를 돌보던 현수와 은혜가 누군가가 설치한 폭탄에 아파트가 폭파되면서 모두 죽자 숙희는 완전히 혈안이 되어 자기가 사랑하던 두 사람을 살해한 범인을 찾아 나선다.
마지막 절정은 숙희가 자신의 철천지 원수가 타고 질주하는 버스에 매달려 버스 안으로 들어가려고 무기로 버스를 찍어내는 장면. 숙희가 이를 악물고 달리는 버스에서 사투를 벌이는 이 장면은 실로 몸 안의 아드레날린을 요동치게 하는 압권이다. 김옥빈 화이팅! 
정병길 감독. ★★★½ (5개 만점)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서든 피어(Sudden Fear)


마이라는 자기 남편이 자기를 죽이려고 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유산 둘러싼 아내 살해음모... 개봉 65주년 맞아 특별상영


할리웃 황금기 수퍼스타 중의 하나였던 연기파 조운 크로포드가 죽음의 공포에 시달리는 돈 많고 아름다우나 고독한 여자로 나오는 1952년 작 걸작 필름 느와르로 로맨틱 멜로드라마이자 서스펜스 스릴러다. 크로포드가 오스카 주연상 후보에 올랐고 그의 남편 역의 잭 팰랜스가 조연상 그리고 찰스 랭이 찍은 음산한 분위기의 흑백 촬영 역시 오스카상 후보에 올랐다. 
원작은 에드나 쉐리의 동명소설.
마이라 허드슨(크로포드)은 브로드웨이의 성공한 극작가. 그는 자기가 쓴 작품의 남자 주인공 선발 오디션에 참가한 젊은 배우 지망생 레스터 블레인(팰랜스)을 로맨틱하지 못하다고 퇴짜를 놓는다. 그런데 마이라가 샌프란시스코의 집으로 돌아가는 기차에서 레스터를 다시 만난 뒤 그의 매력에 끌려 짧은 데이트 끝에 결혼한다.
한편 레스터는 마이라가 유언장을 쓰면서 대부분의 재산을 자선단체에 기부하기로 결정한 것을 발견하고 자기의 숨겨둔 옛 애인 아이린 네베스(글로리아 그래암)와 함께 마이라를 살해할 계획을 짠다.     
그러나 마이라가 레스터와 아이린의 음모를 눈치 채고 자기가 이 둘을 살해한 뒤 그 혐의를 아이린에게 뒤집어씌울 계획을 세밀히 짜나 차마 이를 실행에 옮기지 못한다. 그리고 이번에는 레스터가 마이라의 자기 살해 의도를 깨닫고 마이라를 죽이기로 결심한다. 레스터가 차를 몰아 샌프란시스코 거리를 걷는 마이라를 찾아 추적하자 마이라가 이를 눈치 채고 피하나 레스터가 역시 길을 걷던 아이린을 마이라로 오인하고 차를 그쪽으로 몬다. 
이를 본 마이라가 멈추라고 소리를 지르나 때가 이미 늦어 레스터가 모는 차가 아이린을 치고 충돌하면서 두 간부가 함께 죽는다. “둘 다 죽었어”라는 말을 귓전으로 들은 마이라가 샌프란시스코의 밤 속으로 걸어 들어가면서 긴 안도의 숨을 쉰다.
스타일 멋있고 세련된 전형적인 ‘궁지에 몰린 여인’에 관한 느와르로 플롯이 산뜻하면서도 배배 꼬여 재미가 만점이다. 데이빗 밀러 감독. 영화개봉 65주년을 맞아 29일 오후 7시30분에 화인 아츠극장(8556 Wilshire Blvd.)에서 상영한다. 상영 전에 영화학자 제레미 아놀드의 소개가 있다. ★★★★ (5개 만점)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수인’


작가 황석영.


나는 작가 황석영(사진)의 파란만장한 삶의 구석구석을 최근에 읽은 그의 두 권짜리 자전 ‘수인’을 읽고서야 알았다. 그의 다사다난한 인생에 관해서 대충 알고는 있었지만 책을 통해서야 그것의 편린들을 통증마저 느끼면서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었다.
석영이와 나는 중고등 학생 때 친구로 그의 당시 이름은 수영이었다. 중학생 때부터 수업시간에 공부는 안 하고 노트에 잉크 찍은 펜으로 소설을 썼던 석영이는 경험론자요 행동론자요 투사다. 삶을 실제로 철저히 겪으면서 거기서 얻은 경험을 글로 썼다.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인 ‘탑’은 그가 월남전에 파병돼 순찰조로서 겪은 경험이고 후에 영화로도 만들어진 ‘삼포 가는 길’은 그가 노동자의 척박한 삶을 배우기 위해 막노동판에서 일한 경험이다.
재간둥이요 기인인 석영이의 문단(?) 데뷔는 중학생 때 교내 문학콩쿠르에서 그가 쓴 ‘부활이전’이 장원을 하면서다. 그는 여기서 예수를 배신한 유다를 동정의 눈으로 보면서 왜 유다가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를 풀이하고 있다. 나는 그 때 이 글을 읽으면서 그의 비상한 문재와 함께 소외되고 배척당한 사람의 입장을 옹호하려는 그의 반골정신에 크게 감복했었다. 그는 타고난 앤타이다.
석영이와 나는 비슷한 점이 더러 있다. 그의 어머니와 나의 어머니는 다 이북 태생인 독실한 기독교 신자들로 두 사람이 모두 혼자서 외아들을 키웠다. 그리고 중국의 장춘과 청도에서 각기 태어난 석영이와 나는 학생시절 영화광으로 학교생활에 염증을 느껴 자주 땡땡이를 깠는데 그래서 두 모친이 툭하면 학교로 호출을 당하곤 했다. 석영이에 따르면 호출 당해 교무실에서 만난 두 모친은 “기도부터 합시다”라고 자식들의 죄의 용서를 빌었다고 한다. 그리고 우린 둘 다 중학생 때부터 문학도였다.
석영이의 반골기질이 여실히 드러난 글이 대하 역사소설 ‘장길산’이다. 이 소설은 내가 서울의 한국일보 사회부기자였을 때 석영이가 한국일보에 연재했다. 그런데 바람처럼 살던 석영이가 전남 해남에서 이 글을 쓰면서 툭하면 원고를 안 보내 문화부 담당 선배기자의 속을 무던히도 썩였었다. 석영이는 그러고도 가끔 고료를 받으러 신문사에 나타나곤 했는데 그날이면 난 그로부터 술을 톡톡히 얻어 마시곤 했다.
‘수인’은 그가 군인과 노동자 그리고 이북을 방문해 김일성을 여러 차례 만난 이후 망명자로 이어 귀국해 수인으로서 그리고 작가와 아버지와 아들과 남편으로서 겪은 삶의 희로애락을 학생 시절의 아름다운 추억과 함께 적었다. 친구로서 그를 잘 알던 나여서 반쯤은 내 얘기 같은 과거가 활동사진처럼 눈앞에서 파노라마쳤다.
월남에 가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겼고 노동판에서 뼈마디가 쑤시는 노동을 했고 오랜 타국살이 끝에 귀국해 5년간 옥살이를 한 일들을 현미경으로 보듯이 자세히 적었는데 그의 뛰어난 기억력에 혀를 찼다. 석영이가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기고 지금까지 살아있는 것은 오직 그의 어머니의 기도 탓이리라.
특히 수인으로서의 옥중 생활 얘기가 흥미진진하다. 유명 작가와 정치범으로서 단식과 투쟁을 하면서도 교도관들로부터 대접을 받았는데 교도관들과 함께 이웃 죄수들과의 관계가 마치 교도소영화 보듯이 생생하다. 석영이의 어머니와 아내 그리고 자식들까지도 마음과 몸 고생 많이 했겠다. 석영이도 그래서 글에서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남겼다. 일종의 반성문이다.
나는 석영이가 미국서 망명 생활할 때 LA에서 그를 한 두 차례 만난 적이 있다. 만나면 술집을 전전하며 옛 우정을 되새기곤 했는데 석영이는 늘 생명감이 넘치고 아이처럼 짓궂었다. 석영이는 천진난만하고 솔직하고 또 작가답게 날카로운 위트가 있어 좋다. 그리고 이번에 새삼스럽게 깨달은 것은 그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가라는 사실. 난 그가 그렇게 유명한 줄은 예전에 미처 몰랐다.
그런데 글에 몇 군데 내 기억과 다른 곳이 있다. 우리가 어렸을 때 본 영화 ‘오케스트라의 소녀’에 관해 석영이는 미지막 장면에서 지휘자 스토코우스키가 지휘봉을 들고 열심히 흔들었다고 했는데 스토코우스키는 지휘봉을 쓰지 않는다.
그리고 월남에서 한국산 K레이션의 김치와 꽁치 그리고 미제 레이션의 햄과 소시지를 섞어 끓인 것을 ‘부대찌개’의 원조라고 적었다. 그러나 ‘부대찌개’의 원조는 6.25 때 내가 부산 피난시절에 맛있게 먹은 미군부대에서 먹다 버린 온갖 음식 찌꺼기를 섞어 끓인 ‘끌꿀이죽’인 것으로 알고 있다. 또 명동에 있던 학생시절 내 단골 음악감상실 ‘돌체’는 드문드문 클래식을 틀기는 했지만 고전음악감상실은 아니고  팝송감상실이었다.                
석영이는 후기에서 책의 제목에 관해 이렇게 썼다. ‘시간의 감옥, 언어의 감옥, 냉전의 박물관과도 같은 분단된 한반도라는 감옥에서 작가로서 갈망해온 자유란 얼마나 위태로운 것이었던가. 이 책의 제목이 ’수인‘이 된 이유가 그것이다.’ 그의 작가로서의 지금까지의 행적은 바로 이 자유에 대한 사랑의 궤적이리라. “석영아, 잘 있지. 보고 싶구나.”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