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7년 5월 2일 화요일

라틴 애인 되는 방법(How to Be a Latin Lover)


막시모가 돈많고 나이 먹은 미망인 셀레스트(왼쪽)를 유혹 하고있다.

여자 돈으로 먹고 사는 건달… 뒤늦게 가족 사랑 깨달아


진부하고 통속적인 섹스 코미디로 내용과 연기와 연출 등이 모두 어색해 보기가 민망하다. 하나 볼 것이 있다면 왕년의 섹스 심볼 라켈 웰치가 오래간만에 스크린에 컴백한 모습.
막시모(유제니오 데르베즈)는 부유한 노 미망인을 유혹, 결혼해 여자 돈으로 먹고 사는 날건달. 그의 현 부인은 80세로 막시모는 이 여자가 죽기만을 학수고대한다. 그런데 뜻 밖에도 이 여자가 젊은 자동차 판매원에 반해 막시모를 버리면서 막시모는 졸지에 홈리스가 된다.
막시모가 이제 기댈 곳은 그 동안 관계가 뜸했던 싱글 맘인 누나 새라(셀마 헤이엑). 작은 아파트에사는 새라에겐 아들 휴고(라파엘 알레한드로)가 있는데 휴고는 약간 너드형이나 사랑스러운 틴에이저.    
어떻게 해서든지 다시 호화로운 과거의 생활을 되찾으려고 작심한 막시모가 노리는 여자가 휴고가 좋아하는 여자 급우의 돈 많고 혼자 사는 할머니 셀레스트(웰치). 막시모가 라틴 러버의 힘을 재 발휘하려고 노력하면서 그는 휴고와 인간적 관계를 맺게 되고 아울러 결코 돈이 가족 사랑보다 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는다. 로브 로와 크리스틴 벨 출연. 켄 마리노 감독. R. 일부지역. ★★1/2 (5개 만점)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일주일과 하루(One Week and a Day)


줄러(왼쪽)가 말아준 마리화나를 에이알이 즐기고 있다.

아들을 먼저 떠나 보낸 부부의 후유증… 웃음과 슬픔으로 묘사


아들의 죽음을 맞은 중년 부부의 후유증과 슬픔을 희화적이면서도 달콤 씁쓰름하게 다룬 이스라엘 코미디 드라마다. 성격 묘사 영화이자 때론 넌센스 코미디 분위기를 지닌 독특한 영화로 웃음과 슬픔을 잘 혼합한 작품이다.
영화는 25세난 아들 로니의 죽음을 애도하는 기간인 1주일의 마지막 날에 시작된다. 로니의 어머니 빅키(에브제니아 도디나)는 이제 자기가 가르치는 초등학교에 되돌아가 삶을 이어가려고 하나 로니의 아버지 에이알(샤이 아비비)은 아직 그럴 생각이 없다.
에이알은 아들이 있던 호스피스에 찾아가 아들의 유품인 의료용 마리화나를 갖고 돌아온다. 그리고 이를 종이에 말아 피우려고 하나 제대로 말 줄을 몰라 고심하다가 이웃집 부부의 30세 난 수시배달원으로 에어기타를 즐기는 너드형의 착한 줄러(토머 카폰)의 도움을 받아 말아서 둘이 함께 피운다. 나중에 빅키 까지 마리화나를 즐긴다. 
영화는 직선적이요 화를 잘 내며 충동적인 에이알과 아이처럼 순진하고 만사태평인 줄러의 관계에 상당한 무게를 주면서 에이알을 죽은 로니와 대체해 새로운 부자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영화에서 가슴을 뭉클하게 하는 장면은 에이알과 줄러가 호스피스의 병상에 누워 있는 한 여인의 어린 딸과 함께 이 여인을 놓고 가상 수술을 하는 장면.
죽음은 삶의 일부분이라는 뜻을 지닌 작품으로 배우들의 연기가 아주 좋다. 아사프 폴론스키 감독. 성인용. 일부지역. ★★★1/2 (5개 만점)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악의 터치(Touch of Evil,1958)


미국인 형사 행크(왼쪽)와 멕시칸 형사 마이크가 폭사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

부패와 어둡고 음산한 인간의 타락을 파헤친 심리 범죄영화


촬영과 음향, 편집과 스타일이 괴이할 정도로 혁신적인 어둡고 음산하고 뒤틀린 필름 느와르로 할리웃의 기인 오손 웰즈가 감독, 주연하고 각색(원작은 위트 매스터슨의 소설 ‘악의 배지’)했다. 영화사상 최고의 오프닝 신이라 찬양받고 있는 3분20초간 한 번의 컷도 없는 크레인 샷으로 시작된다.
미^멕시코 접경지대의 지저분한 유령마을 같은 로스 로블레스의 실력자의 차 트렁크 안에 장치한 폭탄이 터지면서 사건 현장에 나타난 미국인 형사 행크 퀸랜(웰즈)과 미국인 수전(재넷 리)과 막 결혼한 멕시칸 형사 마이크 바가스(찰턴 헤스턴이 얼굴에 검은 칠을 하고 나온다) 합동으로 수사에 나선다.
카메라가 차에서 내리는 행크를 괴상한 각도에서 클로스업으로 찍었는데 너저분한 수염에 두 턱이 축 늘어진 얼굴과 입술 가운데 문 시가 그리고 중절모와 외투를 걸친 엄청나게 비대한 몸에 지팡이를 짚은 모습이 마치 거대하고 추한 두꺼비 같다.
행크는 나이 먹고 부패한 카리스마가 있는 형사로 젊고 이상적인 마이크가 그를 도와 사건을 풀어나가면서 두 사람 간에 의지의 대결이 벌어진다. 한편 마이크가 수사에 몰두하는 동안 수전은 마을 마약밀매조직의 두목인 그랜디(아킴 타미로프)의 졸개들에 의해 납치되면서 마이크와 수전의 얘기가 교차 묘사된다.
마이크는 행크가 사건 해결을 위해선 증거를 조작한다는 것을 알고 행크의 오랜 단짝 형사 피트(조셉 칼레이아)의 양심에 호소 행크의 비리를 채취할 계획을 짠다.
부패와 인간의 타락을 괴상망측하게 시리 파헤친 심리 범죄영화로 카메라 각도와 그림자와 흑백명암 그리고 클로스업 등을 일사분란하게 구사해 찍은 표현주의 기법의 촬영이 어둡고 더럽고 타락하고 부패한 것들의 속성을 거의 아름다울 지경으로 승화시켜 놓았다.
빅 스크린으로 봐야한다. 행크를 동정하는 싸구려 술집 여주인으로 마를렌 디트릭과 함께 자자 가보가 캐미오로 나온다.
이 영화와 함께 역시 웰즈가 감독하고 주연하며 당시 그의 아내였던 리타 헤이워드가 공연한 ‘샹하이로부터 온 여자’(The Lady from Shanghai^1948)가 5월5일 하오 7시30분부터 이집션극장(6712 할리웃)에서 동시 상영된다. ★★★★1/2(5개 만점)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토스카’


LA오페라가 현재 공연 중인 푸치니의 ‘토스카’(Tosca)는 무대의 커튼에 뿌려진 선혈처럼 피로 얼룩진 비극적인 작품이다. 사랑과 질투, 욕정과 정절 그리고 배신과 죽음으로 엮어진 극적이요 정열적인 내용 때문에 팬들의 ‘올타임 페이보릿’으로 사랑을 받고 있다.
3막 전체가 아름답고 로맨틱하며 격정적인 멜로디로 짜여 있어 평범한 대사마저 듣기 좋다. 제1막에서 자기 애인인 성당화가 카바라도시가 그리는 막달라 마리아의 초상을 보고 질투를 하는 토스카와 카바라도시가 주고받는 대화가 그렇다.
토스카는 질투심과 신심이 강한 여자로 정열적이요 용감하고 맹렬한데 이에 비하면 카바라도시는 다소 ‘마마 보이’처럼 느껴진다. 이런 역인만큼 토스카는 프리 마돈나들의 꿈의 역으로 토스카하면 대뜸 떠오르는 명창이 마리아 칼라스다.
내가 ‘토스카’를 처음 들은 음반도 칼라스의 것으로 카바라도시로는 미남 테너 주세페 디 스테파노가 그리고 카바라도시의 연적인 스카르피아로는 바리톤 티토 고비가 노래했다. 황홀무아 지경이다. 칼라스와 스테파노는 오페라계의 전설적 동반자로 여러 차례 함께 순회공연을 했고 많은 음반을 남겼다.
지난 22일 개막된 ‘토스카’는 토스카 역의 소프라노 손드라 라드바놉스키의 강력한 음성이 장내를 뒤흔들어 놓은 공연이었다. 막강한 음성으로 풍요롭고 거대하면서도 음색이 곱고 깨끗했다. 그가 제2막에서 부르는 ‘노래에 살고 사랑에 살고’를 듣자니 콧등이 시큰해진다.
종교적 의미가 강하면서도 세속적인 것들로 가득 찬 이 오페라에서 라드바놉스키에 못지않게 강한 인상을 남긴 사람이 로마의 경시총감 스카르피아 역의 바리톤 암브로지오 마에스트리. 스카르피아는 자기가 원하는 것은 취하고 버리는 탐욕스런 자로 또 하나의 축재 대상인 토스카에 대한 욕망 때문에 신마저 잊게 된다며 울부짖는데 듬직한 체구의 마에스트리가 체구에 걸 맞는 강렬한 음성으로 노래했다. 그는 노래 뿐 아니라 사악하고 폭군적이며 아울러 간교한 스카르피아의 연기도 잘 했다.
토스카와 카바라도시의 콤비 보다는 토스카와 스카르피아의 대립관계가 더 맹렬한 불꽃을 튕겼다. 제2막을 가득채운 스카르피아와 토스카의 욕정과 정절을 지키려는 순정의 공방전이 볼만하다.
라드바놉스키 역시 연기가 좋다. 제1막에서 카바라도시에게 막달라 마리아의 눈을 검게 칠하라고 질투를 부리는 모습은 철부지 아이 같다가 스카르피아와의 대결 끝에 그를 칼로 찔러 죽인 뒤(사진) 비참에 잠긴 모습이 처절하다. 순수와 존엄성과 강한 의지를 잘 표현했다.
스카르피아와 토스카처럼 역시 비명횡사하는 카바라도시 역의 러셀 토마스도 맑고 풍성한 음성이다. 제1막의 아리아 ‘오묘한 조화’가 청아하고 서정적이며 제3막의 유명한 ‘별은 빛나건만’ 역시 아름답고 고고하다.
그런데 토마스는 노래는 잘 불렀지만 감성이 다소 부족했다. 그리고 안경을 낀 거구의 토마스가 카바라도시 역에 잘 어울리지 않았다. 그와 라드바놉스키 간에 타오르는 로맨틱한 사랑의 열기도 미적지근하게 감촉됐다. ‘로맨스 무슨 로맨스’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이런 느낌을 가지면서 새삼 오페라는 시각 드라마이자 성악 멜로디라는 말과 함께 지난 2004년 4월 런던의 로열오페라에서 일어났던 ‘뚱보 여가수’ 해프닝이 떠올랐다. 그 때 로열오페라가 리햐르트 슈트라우스의 ‘낙소스섬의 아리아드네’ 공연에 출연 예정이던 소프라노 데보라 보이크트를 뚱뚱하다는 이유로 퇴짜를 놓았었다.
당시 체중 220파운드였던 보이크트가 날씬한 검은 칵테일 드레스를 입은 아리아드네로 나오기엔 지나치게 뚱뚱하다는 것이 이유. 이로 인해 오페라계에서는 스타일이 먼저냐 아니면 내용이 먼저냐는 문제를 놓고 찬반토론이 요란했었다. 이 때 보이크트에 대한  퇴짜에 찬성했던 한 음악저술가는 “폐병을 앓는 미미(라 보엠)를 뚱보가 노래한다는 것은 꼴불견에 가깝다”고 말했었다.
그런데 카바라도시의 대명사와도 같은 뚱보 파바로티가 지난 2004년 3월 메트오페라의 ‘토스카’에서의 카바라도시 역으로 은퇴 공연을 했을 때 그가 과체중으로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해 비평가들로 부터 명예롭지 못한 퇴장이라는 말을 들었었다. 그 때 파바로티는 제3막에서 총살당해 쓰러지면서 마치 낮잠이라도 자려는 듯이 자기 주위에 잔뜩 깔아놓은 베개들 위로 조심스럽게 몸을 눕혀 관객들의 폭소가 음악소리를 압도했다고 한다.
‘토스카’는 오는 5월13일까지 다운타운의 뮤직센터에서 공연된다. 마지막 공연에서는 멜로디 모어가 토스카로 나오고 한국계 바리톤 윤기훈이 스카르피아를 노래 부른다. 22일 공연의  LA오페라 오케스트라의 지휘는 상임지휘자 제임스 콘론이 맡았는데 훌륭한 연주였다. 마지막 공연 지휘는 LA 매스터코랄 감독 그랜트 거숀이 한다.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