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6년 6월 7일 화요일

내 앞의 당신(Me Before You)


루이자가 윌의 무릎에 앉아 사랑의 눈길을 나누고 있다.

사랑의 힘을 얘기하는 로맨틱 코미디


나처럼 센티멘털한 사람들이 좋아할 위피(눈물 짜는 영화)로 매우 감상적인 멜로드라마이지만 정결하고 단순하고 선의가 가득한데다가 로맨틱해 비극인데도 보고 나면 기분이 고양된다. 물론 슬퍼서 눈물을 찔끔찔끔 흘리게 되지만 울어서 몸과 마음이 다 시원해진다. 영화가 곱다.
아름답고 잘 생긴 두 선남선녀 배우들의 콤비와 연기도 좋고 슬픈 내용인데도 유머가 가득해 때로 로맨틱 코미디를 보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질 정도다. ‘러브 스토리’와 ‘우리 별들의 잘못’을 연상케 만드는 완벽한 데이트용 영국 영화다. 원작은 조조 모이에스의 동명 베스트셀러로 모이에스가 각본도 썼다.
주인공은 영국의 작은 마을에 사는 덤벙대지만 착한 루이자(에밀리아 클라크-‘왕좌 게임’). 아이 같은 얼굴을 한 루이자는 한 없이 친절하고 늘 얼굴 가득히 미소를 지어 주위를 밝게 만드는 태양과도 같은 여자로 옷과 구두를 총천연색으로 갈아입고 매니큐어도 색색깔로 바꿔가며 칠해 마치 동화 속의 인물 같다.
루이자가 일하던 빵가게가 문을 닫으면서 루이자는 실직을 하는데 아버지마저 실직자여서 집에 걱정이 쌓인다. 이 때 루이자가 직업 안내소를 통해 얻은 직업이 동네 부자로 성을 소유하고 있는 부부(찰스 댄스와 재넷 맥티어)의 목 아래를 못 쓰는 아들 윌(샘 클래플린-‘헝거 게임’)을 돌보는 일.
윌은 런던 금융가의 총아로 미남에 신체 건강한 사람이었으나 2년 전 교통사고로 지금은 휠체어 신세를 지며 산다. 그러니 사람이 냉소적이요 한으로 가득 찰 수밖에 없다. 윌을 실제로 돌봐주는 사람은 네이산(스티브 피칵)인데 윌의 어머니는 루이자의 생명력과 밝음에 마음이 끌려 아들의 주위를 밝게 하기 위해 그녀를 고용한 것.
물론 윌은 처음에는 루이자를 퉁명스럽게 대하나 루이자의 낙천성과 선의에 감화돼 둘 사이에 가로 놓였던 서리가 서서히 녹기 시작한다. 루이자에겐 7년을 사귄 달리기광인 애인 패트릭(매튜 루이스)이 있지만 둘이 어떻게 될지는 뻔한 일.
문제는 윌이 루이자로 인해 미소마저 짓게 되지만 자기가 결코 과거처럼 될 수 없으며 또 건강도 갈수록 악화된다는 사실로 인해 더 이상 살기를 원치 않는다는 점이다. 이런 윌에게 생의 의욕을 되살려주기 위해 루이자는 윌을 데리고 경마장에도 가고 모차르트의 오보협주곡 연주회에도 가지만 윌의 결심은 변하질 않는다.
잔가지 플롯으로 루이자의 집안 얘기와 그녀와 패트릭의 나빠져 가는 관계 그리고 윌의 전 애인이 윌의 친구와 결혼하는 식장에 윌과 루이자가 참석해 즐기는 장면 등이 있다. 사랑의 힘을 얘기하는 통속적인 내용이지만 두 배우가 호흡이 잘 맞는 진실된 연기로 보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아 그들의 기쁨과 슬픔에 함께 웃고 울게 된다. 테아 샤록 감독. PG-13.
★★★ (5개 만점)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옛날 옛적 서부에(Once Upon a Time in the West)


3명의 건맨이 역에서 무명씨(찰스 브론슨)를 죽이려고 기다리고 있다.

세르지오 레오네의 강인한 대하서사 서부극


‘황야의 무법자’ 시리즈를 만든 이탈리아의 세르지오 레오네 감독이 미 서부에 바치는 헌사로 서정적이며 감상적이고 또 강인한 대하서사 서부극이다. 헨리 폰다가 보기 드물게 검은 모자에 검은 옷과 부츠를 신은 악인으로 나와 마지막에 복수심에 불타는 찰스 브론슨과 결투를  벌인다.  
첫 장면이 멋있다. 허허벌판에 달랑 서 있는 기차역에 내리는 수수께끼의 사나이 브론슨과 그를 처치하려고 기다리는 3인의 악당을 카메라가 가물가물하게 롱샷으로 찍은 다음 갑자기 4인의 얼굴을 극대로 클로스업해 보여준다. 이 때 흐르는 엔니오 모리코네가 작곡한 하모니카가 주도하는 비감한 진혼곡과도 같은 음악이 황량한 서부의 무드를 향수 짙은 음색으로 스크린에 채색한다.
폰다와 브론슨 외에도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와 제이슨 로바즈가 공연하는 165분짜리 걸작이다. 이 영화로 브론슨은 미국을 벗어나 유럽에서도 탑스타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서부의 개척지 플랙스톤과 인근의 유일한 수원지가 있는 스윗워터를 무대로 벌어지는 철도 건설과 땅을 둘러싼 갈등 그리고 복수심에 불타는 정체불명의 건맨의 얘기로 폰다는 프랭크라는 이름으로 철도 건설업자 모턴의 고용된 킬러로 나온다.
프랭크가 수원지가 있는 땅을 소유한 브렛을 사살한 직후 뉴올리언스의 전직 창녀로 브렛의 신부인 질(카르디날레)이 마을에 도착해 남편의 땅을 관리한다. 프랭크와 그의 일당 그리고 모턴과 그의 졸개들이 음모와 배신에 말려들어 살육이 벌어지고 이 난장판에 끼어드는 것이 강도 샤이엔(로바즈). 여기에 무명씨로 하모니카를 부는 브론슨이 나타나는데 이 하모니카 때문에 샤이엔은 브론슨을 ‘하모니카’라고 명명한다.
그런데 ‘하모니카’는 처음에 질의 땅을 차지하려는 프랭크를 돕는데 그가 이 킬러를 돕는 데는 이유가 있다. 프랭크는 옛날에 ‘하모니카’의 동생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자로 ‘하모니카’는 오랜 세월 뒤 프랭크에게 복수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다. 마침내 프랭크와 ‘하모니카’ 간에 필사의 대결이 벌어지는데 이 때 마주 선 둘을 놓고 카메라가 회전촬영을 한다.
프랭크는 ‘하모니카’에게 “도대체 너는 누구냐”고 물으나 ‘하모니카’는 묵묵부답. 이어 총성이 요란하게 난다. 필견의 걸작 웨스턴이다. ★★★★★(5개 만점)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헤세의 고향을 찾아서




남독의 헤르만 헤세의 고향 칼프를 찾아간 날은 봄비가 내리고 있었다. 헤세의 섬세한 언어들과 아름다운 시어들이 소리를 내며 떨어지고 있었다. 뮌헨에서 울름과 슈투트가르트를 거쳐 칼프를 향해 달리는 기차의 창밖을 내다보니 신록이 무성하다. 한스 기벤라트가 마울브론 수도원학교에서 쫓겨나 고향으로 돌아오는 기차에 타 내다본 창밖에도 신록은 저렇게 냄새를 풍기며 푸르렀을 것이다. 독일을 잘 아는 내 친구 C의 안내로 우리 두 부부가 지난 5월 중순 2주간 독일을 다녀왔다. 독일을 아래서 위로 그리고 좌우로 돌면서 헤세 등 작가와 바그너를 비롯한 음악가들의 고향과 집을 둘러보았다.
나는 헤세를 좋아한다. 어렸을 때 그의 ‘나르치스와 골트문트’를 읽은 뒤로 나는 지금까지 헤세를 하나의 이상처럼 여기고 있다. 나로선 도저히 다다를 수 없는 이상이어서 마치 헤세가 좋아하는 자연 속에서 구름을 동경하듯이 그는 나의 동경의 대상이다. 칼프로 가는 기차는 마치 내 고향으로 가는 기차 같았다. 생전 처음 찾아가는 내 문학의 고향을 향해 달리는 기차의 규칙적인 바퀴소리와 진동이 나의 기대와 의문과 흥분을 거의 불안하리만치 쿡쿡 찔러댔다.
내가 헤세를 좋아하는 까닭은 그가 늘 내 만성 통증이기도한 영육 간의 갈등에 시달리면서 그들의 숭고한 결합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헤세 자신이 개인적으로 결함과 문제가 적지 않은 사람이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나르치스와 골트문트’의 둘은 이성과 감성이며 헤세의 자전적 소설 ‘수레바퀴 아래서’의 한스 기벤라트와 헤르만 하일러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나는 나와는 성격이 정반대인 C를 나르치스로 나를 골트문트로 여기고 있다. 그리고 헤세는 자연의 문인인데 나 같은 도시인으로서는 그의 자연 또한 막연한 이상향과도 같다.
헤세의 글은 토마스 만도 말했듯이 산문도 시다. 섬섬옥수로 그린 세밀화처럼 자세해 현미경으로 들여다봐야 깨달을 것 같으면서 또 한편으로는 화가이기도 했던 그가 자유롭게 그린 풍경화처럼 너그럽다. 단어 하나 하나가 보석처럼 반짝이는 그의 글은 심오하고 아름답다.
비가 오는 칼프의 작은 역에 내려 헤세도 말했듯이 자그마한 마을을 걷다가 친절한 동네사람의 소개로 점심을 먹으러 17세기에 지었다는 뢰슬레 호텔의 식당엘 들렀다. 영어를 나보다 잘하는 자그마한 주인아주머니 키어스텐이 남편 칼 바이델릭과 6대째 경영하는 호텔 식당에 헤세도 들렀었다고 들려준다. 요리접시에도 헤세의 사진과 글이 박혀 있다.
마을의 중심인 마르크트광장을 둘러싸고 헤세의 아담한 목조생가(사진 왼쪽서 두 번째)와 기념관 그리고 교회와 시청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소년 한스와 헤세가 이 광장과 골목을 걸어 다니면서 자신들의 이상을 가꾸었겠지. 헤세기념관의 실물 크기 사진 속 헤세의 얼굴이 엄격하고 차갑다. 진열장에 한국어로 번역된 ‘데미안’도 있고 내가 좋아하는 ‘페터 카멘진트’와 ‘크눌프’의 초판과 그가 사용한 타자기도 있다. C가 독어판 ‘나르치스와 골트문트’를 사줬다.
한스가 멱을 감고 낚시를 하던 강 위로 놓인 니콜라우스 다리 중간에 나이 먹은 헤세의 동상을 보니 산 헤세 보듯이 반갑다. 어린 헤세를 세워 놓았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났다. 칼프소요는 내게 마치 갑자기 받은 선물처럼 벅차게까지 느껴졌다. 그래서 차라리 그리움이 현실보다 고운지도 모른다. 칼프를 떠나는데 아쉬움이 발목을 잡는다. 언제 다시 찾아오나 하는 생각에 마음을 잡아 추슬렀다.
하이델베르크와 쾰른과 본을 거쳐 북독 뤼벡에 오니 매우 춥다. 바닷바람이 독일 병정처럼 매섭다. 독일로 떠나기 전 친구가 유튜브로 보낸 하이네의 시에 슈만이 곡을 붙인 ‘임 분더쉐네 모나트 마이’(화사하게 아름다운 5월에)라고 노래하기엔 너무 춥다.
한자동맹의 본산인 뤼벡은 작가 토마스 만의 고향이요 귄터 그라스의 집이 있는 곳이다. 젊은 바흐가 작곡가요 오르가니스트인 디트릭 북스테후데의 오르간 연주를 들으러 아른슈타트로부터 장장 250마일을 걸어 찾아왔다는 세인트 메리교회도 있다. 그러고 보니 독일에는 참 교회와 성당도 많다. 우리가 매일 먹다시피 한 소시지와 맥주만큼이나 많다.  
토마스 만과 그의 형으로 역시 작가인 하인리히가 태어나고 자란 백색 건물은 이들의 기념관. 토마스 만의 자전적 소설인 ‘붓덴부르크 가족’이 살았던 집처럼 대가족의 훈기가 느껴졌다. 이 대하소설은 거상이었던 만 가족을 모델로 한 4대에 걸친 한 가족의 흥망성쇠를 다룬 걸작이다. 튼튼한 문체와 방대하고 대담한 서술방식 그리고 자세한 인물과 사물 묘사로 꽉 짜여진 작품이다. 헤세와 만은 모두 노벨상을 탔다. 만의 집에 들르기 전 역시 노벨상을 탄 ‘양철북’의 작가 그라스의 집에서 그의 자서전 ‘양파껍질을 벗기며’를 샀다.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