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부대원, 인류문화를 구하려 뛰어든것”
2차 대전 종전 직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의 특명을 받고 나치가 약탈한 귀중한 미술품들을 회수하기 위해 독일에 투입된 미술관 관장과 미술사학자 등 7명(그러나 실제로는 이보다 많다)으로 구성된 특수부대의 실화를 그린 액션영화‘모뉴먼트 멘’(The Monuments Men-현재 상영 중)을 감독하고 부대장으로 주연도 한 조지 클루니(52)와의 인터뷰가 베벌리힐스의 포시즌스 호텔서 있었다.
로버트 M. 에셀이 쓴 책을 원작으로 만든 영화에는 맷 데이먼, 빌 머리, 존 굿맨 및 케이트 블랜쳇 등 빅 스타들이 나온다. 미국인들이 중심이 된 특수부대에는 1명의 영국인과 1명의 프랑스인 미술 전문가들이 합류했다. 언제나 봐도 호인인 클루니는 희끗희끗한 머리를 단정히 빗은 모습으로 검은 가죽 재킷과 청바지를 입고 만면에 미소를 지으면서 인터뷰에 응했다. 질문에 위트와 농담을 섞어가면서 친구와 대화를 나누듯 격의 없이 대답했다. 매 2~3년마다 애인을 갈아대는 그는 극히 개인적인 질문에는 구렁이 담 넘어가듯이 대답을 하면서 그런 건 왜 묻느냐는 식으로 희죽이 웃었다. 정치의식이 강한 인본주의자인 클루니는 이 날 전면에 현재 정치범으로 수감된 전 우크라이나 여수상 율리아 티모솅코의 얼굴이 인쇄된 셔츠를 입고 있었다.
클루니는 인터뷰 후 기자와 사진을 찍을 때 기자의 등을 어루만지면서“별 일 없지”라고 다정하게 묻기도 했다. 이에 기자가“별 일 없는데 당신은 어떤가”라고 물었더니“난 좀 쉬어야겠어”라고 대답했다.
―세트장의 분위기는 어땠는가.
“나는 내가 하는 일을 재미있게 즐긴다. 나는 사전에 만반의 준비를 했기 때문에 우리는 모두가 즐겁게 영화를 만들 수 있었다. 서로들 도와가면서 가족적인 분위기에서 영화를 찍었다.”
―당신의 목숨을 버리고라도 구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물건을 위해서 내 목숨을 버릴 수는 없다. 가족이나 개를 구하기 위해서라면 몰라도 불 난 집 안으로 물건을 건지러 들어가진 않을 것이다. 이 영화에서 말하고자 한 것은 특수부대원들은 단순히 미술품을 구하기 위해 적진에 들어간 것이 아니라 인류의 문화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내놓은 것이라는 점이다.”
―독일군들은 당시 약탈한 미술품들을 잃게 될 경우 그것을 파괴하라는 명령을 받았는데 그러려니 차라리 그들이 미술품들을 갖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진 않는가.
“독일군들이 미술품들을 전부 소장하려고 했다는 말은 사실과 다르다. 그들은 철수하면서 많은 미술품들을 파괴했다. 따라서 특수부대의 목적은 미술품들을 회수해 주인에게 돌려주자는 것이었다. 문화적 유산을 약탈하는 행위는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 이라크전 때도 그랬고 현재 시리아의 내전에서도 그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 미술품 약탈은 역사와 문화의 약탈로 이것은 해당 국가의 뿌리를 송두리째 뽑아 놓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래서 미술품의 회수는 한 국가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일이라고도 하겠다.”
―50대 초반에 들어선 이제 여자에 대한 생각과 느낌이 당신이 젊었을 때와 달라진 것이라도 있는가.
“말썽 날 질문이네. 무슨 대답을 해도 다 엉뚱하게 해석할 소지가 있겠네. 난 여자를 무척 귀하게 여기고 아끼는 사람이다. 그러나 여자를 전반적인 사람들보다 더 귀하게 여기진 않는다. 나이를 먹으면서 그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는데 현명해진 것이겠지.”
―영화가 얼마나 사실과 같은가.
“인물들의 이름을 바꾼 것 외에는 90% 정도가 사실이다. 그런데 내가 지금도 미안하게 생각하는 것은 독일 배우들이다. 그들은 지난 75년간 나치로만 나왔는데 촬영 현장에서 어떤 배우는 나보고 이 나치를 조금만 더 인간적으로 바꿔줄 수는 없느냐고 묻기도 했다. 난 ‘안 된다. 그는 나쁜 나치다’라고 거절하면서 동시에 미안하다고 사과를 했다.”
―만약 당신이 단 하나의 미술품을 구해야 할 경우 그것은 무엇이며 당신이 좋아하는 미술가는 누구인가.
“미술의 정의란 무엇인가. 내게 있어 그것은 무언가 개인적인 것이다. 난 폴 뉴만, 월터 크롱카이트 그리고 그레고리 펙 등과 교환한 서신을 보관하고 있는데 내겐 그것이 미술품으로 그 어느 것들보다도 이 편지들을 구하겠다. 편지 얘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이 못된 아이폰 때문에 편지 쓰는 일이 점점 줄어져가고 있다. 다른 사람들이 좋아하는 미술가들을 나도 좋아한다. 루브르에서 모나리자를 봤는데 그는 모든 각도에서 날 바라보더라. 미켈란젤로와 다 빈치와 고흐를 좋아한다.”
―현재 우리의 문화 중 어느 것이 보관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나.
“예술에 대한 미국의 공헌인 로큰롤과 재즈다.”
―왜 율리아 티모셴코의 얼굴이 인쇄된 셔츠를 입었는가.
“그는 우크라이나의 전 수상으로 현 수상의 정적이어서 아무 잘못도 하지 않았는데 수감 중이다. 사람들이 이런 사실을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경각심을 일깨워 주기 위해서다.”(티모셴코는 최근의 시민정변으로 출옥했다.)
―영화에 당신이 라디오를 수리하는 장면이 있는데 당신은 고장 난 라디오나 모터사이클을 수리할 줄 아는가.
“난 얼마 전에도 내 친구의 고장 난 차를 고쳐주었다. 그리고 내 모터사이클이 고장 날 때도 내가 고친다. 난 그런 일에 아주 능하다. 난 켄터키주에서 자랐는데 거기선 뭔가 고장 나면 자기가 고쳐야 한다. 난 집에서도 이것저것 손을 본다. 난 이것저것 잘 하면서도 한편으론 아무 것도 뛰어나게 잘 하는 것이 없는 사람이다.”
―당신의 결점은 무엇이며 실패를 경험한 적이 있나.
모뉴멘트 멘들이 나치가 약탈한 미술품 사진을 들여다 보고 있다.
왼쪽에서 두 번째가 조지 클루니.
|
“난 결점이 많은 사람이다. 실패란 늘 일어난다. 무언가를 완벽히 해냈다고 생각해 본 적이 한 번도 없다. 내 생애 이 시점에서 돌아볼 때 나는 성공과 실패를 모두 고르게 경험했다고 본다. 그래서 난 이제 모험을 주저하지 않는다. 나의 실패와 결점은 모두 스크린에 나타나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잘 알 것이다.”
―이 영화는 당신이 감독한 대사위주의 전 영화들과 달리 사회적 메시지가 있는 ‘더티 더즌’ 형태의 전쟁 액션영화인데 만드는데 어려운 점이 무엇이었나.
“첫째 영화의 색조를 어떻게 조화롭게 하느냐는 것이었다. 심각한 영화이면서 아울러 우스운 면도 있는데 이들의 조화에 신경을 썼다. 그래서 난 참고하기 위해 전에 나온 이런 종류의 전쟁영화들인 ‘위대한 탈주’ ‘벌지 전투’ ‘본 라이언스 특급’ 및 ‘켈리의 영웅들’ 등 여러 편의 영화를 봤다. 빅 스타들이 나온 이 영화들이 잘 만들어진 이유를 알고자 했다. 심지어 ‘오션의 11인’을 감독한 스티븐 소더버그에게 자문을 구하기도 했다. 두 영화가 다 도둑질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얻은 결론은 인물 하나하나에 신경을 쓰면서 그들 각자에게 무언가 서로 다른 특별한 점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 다음은 진행속도였다. 이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일단 궤도에 올려놓으면 영화는 굴러가게 마련인데 그 과정이 문제다. 앞에 말한 전쟁영화들은 다 끝 부분에 가서 굉음을 내면서 힘차게 전진한다. 내 영화도 마찬가지다. 사실 선배들 영화들의 좋은 부분만 빌려다 쓴 셈이다.”
―최근에 독일 뮨헨에서 나치에게 약탈당한 600여점의 미술품들이 발견됐다. 당신은 이것들을 정당한 주인들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아니면 과거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한 본보기로 미술관에 보관하고 전시해야 한다고 보는가.
“주인이 확인된다면 그들에게 반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약탈당했거나 또는 죽음의 수용소로 가던 사람들이 헐값에 팔았기 때문이다. 사실 어느 미술관에 가 봐도 이렇게 주인들의 손을 떠난 미술품들이 전시되고 있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명화들을 미술관에서 구경하고 싶지만 약탈된 것들은 주인에게 반환돼야 한다고 본다.”
―당신 집에는 어떤 그림들이 있는가.
“나는 대단한 미술품 수집가는 아니다. 33년 전 파리에 처음 갔을 때 거리에서 산 그림이 벽에 걸려 있는데 매번 그것을 볼 때마다 첫 파리여행이 생각나곤 한다. 난 내가 갔던 곳과 내가 경험했던 것을 생각나게 하는 그림들이 좋다. 그것들을 보면 마음이 따뜻해진다. 내 집에는 그런 그림들 외에도 가족과 친구들 사진이 잔뜩 걸려 있다.”
―이 영화는 나치의 얘기이면서도 그들이 자행한 끔찍한 일들에 대해선 묘사하질 않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
“우리는 처음부터 피와 끔찍한 것은 보여주지 않으려고 했다. 관객들이 보다 편한 마음으로 영화를 즐기면서 미술을 사랑하도록 만들자는 것이 제작 의도였다. 그리고 특수부대원들이 유럽에 상륙했을 때는 이미 큰 전투는 다 끝이 났기 때문에 액션 장면도 많지가 않은 것이다.”
―당신은 이 영화의 제작자와 감독 그리고 각본가와 주연 배우인데 영화를 만들면서 개인생활은 어땠는가,
“어느 한 가지 일에 몰두하다 보면 삶의 다른 한 부분이 희생되게 마련이다. 나는 너무 일에 몰두하는 편으로 이 영화 외에도 다른 영화들을 만드느라 지난 1년반 동안 LA의 내 집에는 달랑 2주밖에 묵질 못했다. 그래서 지금 하는 일이 2월 중순에 끝나면 좀 쉬면서 친구와 가족과도 시간을 보내려고 한다.”
<한국일보 편집위원 / hjpark12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