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4년 6월 30일 월요일

‘멀레피선트' 앤젤리나 졸리

“악에 맞서 싸워야… 아이들이 그걸 배우길”




현재 빅히트하며(23일 현재 흥행수입 1억8,600만달러) 상영 중인 프랑스 동화‘잠자는 숲속의 미녀’를 원작으로 만든 디즈니의‘멀레피선트’(Maleficent)에서 마녀로 나온 앤젤리나 졸리(38)와의 인터뷰가 5월 베벌리힐스의 포시즌스 호텔에서 있었다.‘잠자는 숲 속의 미녀’는 차이코프스키가 발레곡으로도 작곡했고 1959년에 디즈니에 의해 만화영화로도 만들어진 동화로 멀레피선트(나쁘다는 뜻)는 작품 속의 공주 오로라를 영원한 잠에 빠지도록 저주한 마녀다. 이번 영화는 원작을 새로 해석, 차가운 마음을 지닌 멀레피선트가 주인공이다. 갈색 긴 머리에 가슴 윗부분이 들여다보이는 검은 망사 발렌티노 드레스를 입은 졸리는 갈비씨였지만 두툼한 입술과 큰 눈 그리고 윤곽이 뚜렷한 마스크 때문에 카리스마가 있어 보였다. 단정히 앉아 가끔 유머도 섞어가며 진지하면서도 명확하게 질문에 대답을 했는데 심사숙고 형이다.  

*우리는 살면서 멀레피슨트처럼 겉보기엔 악한 사람 같아도 자세히 알고 보면 결코 나쁜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멀레피슨트가 오로라에게 한 일은 가공스럽고 악한 짓이다. 영화의 요점은 그런 그를 용서하자는 것이 아니다. 단지 어떻게 해서 멀레피슨트가 그런 사람이 되었는가를 이해하려고 했다. 우리는 살면서 누구나 어둡고 악해질 수 있는 경우를 만나지만 그것을 극복하고 저항하는 것은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 아이들이 영화에서 그런 메시지를 깨달을 수 있기를 바란다. 악이 자신을 점령하는 것을 허락한다는 것은 잘못이라는 사실을.

*주위에서 악을 목격한 적이 있는가.
-물론이다. 난 유엔을 위해 일하기 때문에 자기 집이 불에 타고 개스공격을 받고 손톱이 뽑혀진 어머니들이 다친 아이들을 데리고 피난 다니는 것을 많이 본다. 분명히 이 세상엔 악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의 근원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그것에 진실로 대항할 길이 있는가를 찾아 봐야 한다. 그 방법이란 정의와 교육이다. 좋은 에너지를 가진 사람들의 힘을 모아 악에 대항해 싸워야 한다.”   

*당신은 배우이자 감독이며 또 인본주의 운동가인데 셋 중 어느 하나만을 고르라면 어느 것을 선택하겠는가. 
-인본주의적이요 정치적인 일이 먼저다. 그러나 나는 이 세 가지 일에 모두 애착을 느낀다. 감독은 내가 스스로 역과 소재를 고를 수가 있어 좋다. 나는 늘 역사적으로 교훈이 될 수 있는 소재를 좋아한다. 메시지 영화다. 

*당신은 아이가 여섯인데 그 중에 배우가 되고 싶어 하는 아이가 있는가. 
-아이들이 연기에 관심이 있는 것 같진 않다. 만약에 관심이 있다면 난 적극 후원할 것이다. 우리의 뜻은 아이들에게 영화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면서 또한 영화 외에 다른 것도 있다는 것을 가르쳐주는 것이다. 그래서 아이들이 다양한 사람들이 되도록 하고 싶다. 그러나 우리는 단지 아이들의 길잡이일 뿐이지 그들이 어떤 사람이 되는지는 각자에게 맡길 것이다. 

*당신은 인본주의자로서 세계 각지를 다니는데 아이들을 데리고 가는가.
-아이들에게 세상을 알려주려고 가능하면 그들을 데리고 다니려고 한다. 얼마 전 요르단에 갔을 때도 아들을 데리고 갔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처럼 위험한 곳에는 혼자 간다. 그럴 땐 아이들이 학교에서 선생님과 함께 지도로 내가 간 곳을 찾아 왜 엄마가 사람들을 돕는지 그리고 세상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얘기한다. 어떤 땐 아이들이 내가 여행을 떠나기 전에 가난한 곳에 사는 아이들에게 주라고 적은 돈과 물건을 주기도 한다. 

*여름에 프랑스에서 브래드와 결혼식을 올린다는 얘기가 있는데 사실인가. 그리고 당신이 프랑스에서 포도주를 양조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결혼 계획 전연 없다. 프랑스제 포도주를 만들고 있으며 포도주에 대해 배우는 일은 아주 재미있는 일이었다. 브래드와 나는 포도주 마시기를 좋아한다.

*당신에게 있어 진정한 사랑의 의미는 무엇인가.
-아이들을 가지기 전까지는 그 뜻을 잘 몰랐다. 그런데 고아원에서 매독스(2002년 캄보디아 고아원에서 7개월 됐을 때 입양)의 눈을 보는 순간 내 세상은 완전히 바뀌었다. 그것이 나의 진정한 사랑의 첫 경험이다. 그를 보는 순간 나는 내가 더 이상 내 세상의 중심이 아니란 것을 깨달았다. 타인이게 자신을 주고 그들이 나의 행복이 되는 것 그리고 그들에게 일어날지도 모르는 위험한 일이 내게 일어나게 해 줄 것을 바라는 것 바로 그것이 진정한 사랑이라고 본다.

*유방 절제수술을 받은 후의 건강상태는 어떤가.
멀레피선트(왼쪽)와 어린 오로라.
-아주 좋다. 난 그 같은 결정을 내린 것을 아주 잘 했다고 생각한다. 내가 나의 건강문제를 공개한 것은 다른 여자들에 대한 의무감 때문이었다. 나의 건강문제를 공개한 뒤로 많은 다른 사람들과 연결이 되었다. 

*당신과 브래드가 함께 영화를 만든다는 소문이 있는데 사실인가.
-그렇다. 4년 전에 내가 쓴 것이 있다. 그것을 바탕으로 불원 독립적이요 실험적인 영화를 만들까 한다. 내가 감독을 할지도 모른다.

*당신은 많은 여자들의 귀감과도 같다. 당신의 대 여성관계는 어떤 것인가.
-내가 아는 가장 강한 첫 여자는 나의 어머니다. 내가 만난 진정한 첫 여자 친구는 내가 20대 때 유엔을 위해 캄보디아에서 일할 때 만난 여자들이다. 할리웃에서 성장한 나로선 그들이 자기 대신 남을 위해 헌신하는 것을 목격하는 것은 하나의 영감이었다. 어머니가 되고 나이를 먹을수록 더욱 강해지게 마련이다. 내게 가장 많은 것을 가르쳐준 여자들은 그 누구보다 내 딸들이다. 나는 그들에게서 아름다운 희망과 힘과 확신과 독립 그리고 사랑하는 본질을 본다. 

*브래드와 아이들의 관계는 어떠며 그와 당신의 사랑은 여전한가.
-브래드는 딸의 말이라면 뭐든지 들어준다. 그러나 아들들과도 남자만의 시간을 즐긴다. 그와 나는 아이들 앞에서 서로를 돌보고 아끼고 존경하는 모습을 보여주려고 한다. 브래드는 아들들에게 여자와 어머니를 존경하는 길을 가르쳐 준다. 브래드와 나의 삶은 가족이 중심이다. 처음에 만났을 때는 서로 사랑에 빠져 흥분했지만 지금은 그와 다른 가족적인 사랑이라고 불러야 좋을 것 같다. 단순히 파트너요 연인 간의 사랑이 아닌 하나의 가족이라는 말이다.

*당신에 대한 오해를 경험한 적이 있는가.
-난 나에 대해 쓴 글들을 읽지 않아 그에 대해 잘 모르겠다. 중요한 것은 그런 것에 신경을 안 쓴다는 것이다. 이 동네에서 어떻게 오해가 없을 수 있겠는가. 그저 꾸준히 자기 길을 간다면 결국은 이해 받게 마련이다. 오해하는 사람은 무시하면 된다.

*당신의 패션은 어떤 것인가.
-중요한 것은 최신 유행을 따를 것이 아니라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물론 실수가 있을 수도 있지만 자신이 고른 것인 만큼 밖에 나갈 때면 난 언제나 나 자신을 느끼곤 한다. 

*난소암 수술도 받는다고 알려졌는데 사실인가.
-사실이다. 그러나 수술문제는 내 사적인 일로 수술이 끝난 후 그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도대체 어떻게 한 사람이 어머니와 아내와 감독과 배우와 제작자와 각본가 그리고 인본주의 운동가의 일들을 해낼 수가 있단 말인가.
-나는 스케줄에 집착하는 사람이다. 나는 내 일을 사랑하고 내 아이들을 사랑한다. 브래드 같은 파트너를 둔 것이 큰 행운이다. 나는 일할 때 아이들을 데리고 올 수도 있고 또 삶의 여러 가지 일들을 하기 위해 비교적 자유롭게 내 시간을 낼 수가 있다. 내가 받은 것을 돌려주지 못하고 남에게 유용한 사람이 되지 못한다면 난 내게 주어진 삶을 누릴 자격이 없다고 본다. 그것이 내가 최소한 할 수 있는 일이며 또 내 기쁨이다.    

*난민 구호활동에 관해 말해 달라.
-먼저 목적지에 도착하면 내가 할 일에 대해 알기 위해 브리핑을 받고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많은 시간을 보낸다. 나는 현장에 가면 곧 바로 난민들을 직접 만나 땅바닥에 주저앉아 그들의 고충을 듣곤 한다. 그리고 그들의 애로사항과 메시지를 전파하려고 노력한다. 내가 난민들을 찾는 것은 세상 사람들에게 자기 일상의 일을 떠나 고통에 빠진 사람들을 염려하고 돌보는 일을 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그런데 난 유엔 친선대사가 된 이래 각국의 대통령과 수상 및 정치인들을 만나 난민문제를 상의하느라 다소 정치적이 됐다. 
                                                    <한국일보  편집위원/hjpark1230@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