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4년 4월 14일 월요일

4월은 말론 브랜도의 달

올해로 90세…뉴베벌리 시네마 한달간 연속 상영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뉴베벌리 시네마(7165 Beverly Blvd.)는 말론 브랜도가 90세가 되는 2014년 4월(3일생)을 맞아 그의 영화들을 4월 한 달간 2편씩 동시 상영한다.

*11~12일
‘사요나라’
▲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Last Tango in Parisㆍ1972)-파리에 사는 미국인 남자(브랜도)가 아내의 자살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리면서 길에서 우연히 만난 도전적이요 고혹적인 젊은 여인(마리아 슈나이더)과 대화나 감정의 교류가 거의 없는 동물적인 육체관계를 맺는다. 버터를 이용한 섹스 신 때문에 개봉 당시 큰 논란이 됐던 영화로 미성년자 관람불가인 X등급을 받았다. 고독과 허무가 판을 치는 실존적 작품으로 촬영이 눈부시다. 베르나르도 베르토루치 감독. 136분. 
▲ ‘황금 눈동자 속의 반영’(Reflections in a Golden Eyeㆍ1967)-1940년대 미 남부에 주둔한 동성애자인 육군 소령(브랜도)과 남편의 부하와 정사를 나누는 소령의 아내(엘리자베스 테일러)및 이들의 주위사람들을 중심으로 억눌린 성욕과 동성애 그리고 관음증과 살인을 다룬 변태적인 영화. 카슨 맥컬러의 소설이 원작. 존 휴스턴 감독.

*13~14일
▲ ‘워터프론트’(On the Waterfrontㆍ1954)-뉴욕 항구의 부두노동자들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다시피 한 깡패조직에서 졸개로 일하는 실패한 권투선수(브랜도-오스카 주연상)가 자기가 사랑하는 비둘기처럼 순수한 노동자의 대학생 딸(이바 마리 세인트가 데뷔작으로 오스카 조연상 수상)의 영향을 받아 자각해 깡패조직에 단신으로 저항한다. 오스카 작품, 감독(엘리아 카잔), 각본 및 촬영상 등 모두 8개 부문 수상. 로드 스타이거, 리 J. 캅, 칼 말덴 공연. 레너드 번스타인의 음악이 작품의 무드를 한껏 떠받쳐주고 있다. 
▲ ‘아팔루사’(The Appaloosaㆍ1966)-1870년대 멕시칸 도적들에게 자기 말을 도난당한 남자가 이를 찾기 위해 도적들을 추적한다. 침울한 무드의 진행이 느린 이색 웨스턴.   
‘워터프론트’
*15일
▲ ‘베드타임 스토리’(Bedtime Storyㆍ1964)-두 사기꾼(브랜도와 데이빗 니븐)이 한 여자(셜리 존스)를 놓고 사랑 다툼을 벌인다. 이 영화는 1988년 스티브 마틴과 마이클 케인 주연으로 ‘더티 로튼 스카운드럴’로 리메이크 됐다.
▲ ‘홍콩의 공작부인’(A Countess from Hong Kongㆍ1967)-여객선의 외교관(브랜도)과 그의 접견실에 무임 승선한 여인(소피아 로렌)과의 로맨틱 코미디. 찰리 채플린이 감독 집필 작곡의 1인3역을 하고 단역으로까지 나온 그의 마지막 작품.  

*16~17일
▲ ‘체이스’(The Chaseㆍ1966)-텍사스의 한 작은 마을을 무대로 전개되는 무지몽매한 사람들의 광적이요 파괴적인 군중심리와 이 동네 출신으로 교도소에서 탈출한 젊은이(로버트 레드포드)가 동네 사람들과 셰리프(브랜도)에게 미치는 영향을 그린 이색적인 드라마다. 호튼 후트의 소설이 원작으로 앤지 딕킨슨, 제임스 팍스, 로버트 두발, E.G. 마샬 및 마사 하이여 등 올스타 캐스트. 릴리언 헬만이 각색하고 감독은 아서 펜. 133분. 
▲ ‘사요나라’(Sayonaraㆍ1957)-한국전 당시 일본의 고베 인근에 주둔한 미 공군 소령 파일럿 에이스(브랜도)와 아름다운 일본 연예인 하나오기(타카 미이코가 만개한 벚꽃처럼 화사하다)와의 로맨틱한 사랑을 그린 빼어난 드라마. 에이스의 부하인 조(레드 버튼스)는 일본 여인 카추미(우메키 미요시)를 사랑해 결혼하려 하나 군이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자기를 본국으로 송환시키려 하자 임신한 카추미와 함께 동반자살을 한다. 이에 충격을 받아 인종차별의 편견을 채 벗어나지 못한 에이스는 하나오기와의 결혼을 결심한다. 제임스 미치너의 소설이 원작으로 애절하고 아름다운 주제가는 어빙 벌린이 작곡했다. 버튼스와 미요시가 오스카 조연상을 받았고 미술상도 받았다. 147분. 상영시간 문의 (323-938-4038).                  
                                                               <한국일보 편집위원/hjpark1230@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