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8년 6월 29일 금요일

유럽 삼국지


세트 방문과 배우와 감독 인터뷰 차 김정은과 트럼프가 만나고 월드컵 경기가 시작된 지난 한주 간 스페인과 영국과 이탈리아를 다녀왔다. 번갯불에 콩 구어 먹은 여정에서 인터뷰한 사람들은 조지 클루니를 비롯한 총 13명.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해변 가 좁은 골목에 오밀조밀 들어선 아파트마다 베란다에 빨래를 내건 정경이 한국 모습이다. 바르셀로나는 자치정부가 통치하는 카탈로니아의 수도. 카탈로니아는 작년 9월 주민투표를 통해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선언을 했다가 스페인 정부로부터 불법조치를 당해 정치지도자들이 투옥되거나 망명을 했다.
그 후 카탈로니아는 최근에서야 자치권을 회복했는데 새로 지역 대통령으로 선출된 큄 토라가  다시 10월 1일에 독립 찬반투표를 하겠다고 선언, 귀추가 주목된다. 길을 걷다보면 아파트에 ‘리베르타’(해방)라고 쓴 현수막과 함께 카탈로니아기가 걸린 것을 보게 된다(사진).
소매치기 많기로 유명한 바르셀로나의 명품인 속칭 가우디성당을 보려고 할리웃 외신기자협회(HFPA)의 키다리 스웨덴 동료회원 마그너스와 함께 폭염 속으로 나섰다. 갈증을 풀려고 성당 앞 노천카페에서 마신 생맥주 한 잔 값이 무려 10유로. 노상강도나 진배없다. 안토니 가우디가 설계한 성당은 1882년에 짓기 시작한 후 지금까지 100년이 넘도록 계속해 짓고 있는데 곰팡이를 뒤집어 쓴 것 같은 옛 성당 자태가 엄숙하다.
그런데 옛 성당 뒤로 짓고 있는 새 건물의 뾰족탑 위 십자가와 허리춤에 조각한 성당이름에   빨간색을 입혀 불경스럽게도 마치 베이가스의 카지노를 옮겨 놓은 것 같다. 가우디 사망 100주년이 되는 2026년에야 완공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나는 소위 관광지의 명물을 볼 때마다 감탄을 제대로 못하고 서먹하기만 해 공연히 죄책감에 빠지곤 한다. 마치 글로만 소통하던 여인을 막상 만나고 나니 안 보니 만 못한 심정이라고나 할까. 상상이 실제보다 아름다운 탓일까.
작년에 트럭테러로 14명이 사망한 산타모니카의 프로미나드 확대판인 올드타운을 걷는데 아프리카 흑인들이 대마초 사라고 권유한다. 부자들의 요트가 정박한 부두 주위로는 아프리카 흑인들이 노상에 즐비하니 가짜 루이뷔통과 나이키 등을 늘어놓고 팔고 있다. 경찰이 단속도 안 한다.
사방에서 담배들을 태우고 한 집 건너 있다시피 한 노천카페에서 느긋하니 맥주를 마시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자유의 냄새가 물씬 풍겼다. 통제가 심한 LA보다 훨씬 자유로운 분위기다. 유럽의 서민적 자유가 미국의 그 것보다 훨씬 관대한 느낌을 받았다. 우리는 이날 총 1만8,597보를 걸었다. 총 6.4마일이다.
바르셀로나에서 범죄 스릴러 ‘거미집의 여인’의 주인공 클레어 포이와 한국계 존 조가 주연하는 컴퓨터 스릴러 ‘서칭’의 인도계 감독 아네쉬 차간티 등을 인터뷰하고 런던에 도착했다. 내가 좋아하는 구름이 낀 날씨다.
스타즈 TV의 시리즈인 초현실적 스파이 스릴러 ‘룩’의 세트 방문에 이어 시리즈에 나오는 졸리 리처드슨(바네사 레드그레이브의 딸) 등을 인터뷰한 뒤 저녁에 마그너스와 함께 템즈강 인근의 숙소로 런던에서 최초로 전기승강기를 설치한 사보이호텔을 나와 코벤트가든 주위로 산책을 나섰다. 영국의 선술집 펍에 들러 맥주를 시킨 뒤 싸늘한 공기가 기분 좋은 술집 앞 보도에서 마시면서 런더너 흉내를 냈다. 밤 11시가 되니 바텐더가 술집 기둥에 매어달린 종을 “땡 땡”하고 치면서 문 닫는다고 통보한다.
런던을 떠나 이탈리아의 피서지인 사르디니아 섬에 왔다. 조지 클루니가 제작·감독하고 출연도 하는 훌루 TV 시리즈 ‘캐치-22’의 세트를 방문하고 클루니 등을 인터뷰하기 위해서다. 진퇴양난의 처지를 뜻하는 ‘캐치-22’는 조셉 헬러가 쓴 전쟁 풍자소설이 원작이다. 올비아라는 마을의 안 쓰는 활주로에서 찍는 현장을 방문하고 인터뷰에 들어갔는데 내가 몹시 보고팠던 배우는 종종 만나는 사람 좋은 클루니 보다는 이탈리아의 베테런 스타로 시리즈에서 로마 사창가 포주로 나오는 지안칼로 지아니니(75)였다. 지아니니는 여류감독 리나 워트물러가 만든 ‘7명의 미녀들’과 ‘표류’ 등에 나온 명배우다.
사르디니아는 휴양지답게 하늘과 바다가 깨어질듯이 청명하고 태양이 제 성을 못 이겨 속 열기를 활활 내뿜고 있었다. 나는 이런 태양의 횡포를 볼 때마다 카뮈의 소설 ‘이방인’의 주인공 뫼르소가 생각난다. 뫼르소는 해변에 나갔다가 별 이유도 없이 아랍인을 총으로 쏴 죽이는데 구태여 이유를 찾자면 작열하는 태양 탓. 나도 뫼르소처럼 가학적인 태양을 대하게 되면 머리가 아프다.
귀국 행 비행기를 타려고 다시 런던에 도착하니 바람이 불고 쌀쌀한 날씨가 쓸쓸해서 살 것 같았다. 땅에 머문 시간보다 공중에 떠있는 시간이 더 많았던 것 같은 여행이었다.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