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5년 4월 13일 월요일

‘롱게스트 라이드’ 스캇 이스트우드




“황소 탔다 2초만에 내동댕이… 얼굴 밟힐뻔”

"관계맺기의 어려움 다룬 영화로 모두가 봐주길 기대
아버지는 나의 영웅… 늘 열심히 하라, 겸손하라 조언"


10일 개봉되는 젊은 로데오 불 라이더와 미술을 전공하는 여대생과의 사랑을 그린‘롱게스트 라이드’(The Longest Ride)의 주인공 스캇 이스트우드(29)와의 인터뷰가 3월29일 뉴욕의 리츠 칼튼 호텔에서 있었다. 턱과 볼에 잔 수염을 한 스캇은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아들로 키만 아버지보다 작았지 아버지를 쏙 빼다 닮았다. 손 제스처와 미소와 겸연쩍어할 때 얼굴에 홍조를 띠는 것까지 닮았는데 할리웃 외신기자협회(HFPA) 기자들이 여러 차례 아버지와 관련해 질문을 하자 지겹다는 표정을 감추려고 애쓰는 표정이 역력했다. 그러나 스캇은 직업적으로 그런 질문에 겸손하고 유연하게 대했는데 위트와 유머를 섞어가면서 비교적 짧게 대답했다. 이 영화는 그의 빅 스크린 데뷔 작품. 스캇은 씩씩하고 쾌활한 사람으로 언젠가 아버지의 그늘을 벗어나 빅 스타가 되리라고 장담해도 좋을 것이다. 이 영화는 로맨틱하고 감상적인 베스트 소설들로 역시 영화로 만들어진‘노트북’‘병 속의 편지’ 및‘디어 존’ 등을 쓴 니콜라스 스팍스의 소설이 원작이다.                
 
-이 영화는 일종의 현대판 웨스턴인데 당신과 웨스턴의 관계는 어떤지.
“나는 북가주에 있는 아버지의 큰 목장에서 자랐기 때문에 영화와 같은 분위기에 익숙하다. 그래서 말 타기를 일찍부터 배웠다. 그러나 황소는 타보지 못했다. 이번에 타보니 아주 흥분되고 재미있었다.” 

-황소를 탄 뒤 배운 것은 무엇인가.         
“난 이번에 불 라이더들을 정말로 존경하게 됐다. 그들은 아주 강인한 사람들이나 막상 그들의 전성기에도 황소를 타고 오래 견디는 사람들은 전체의 절반 정도다. 정말로 어려운 일이다.”

-당신은 영화에서 현대미술을 보고 말똥 같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어떤가.
“나의 현대미술에 관한 식견은 영화와 같다. 뭐가 뭔지 잘 모르겠다. 앞으로 그것에 대해 좀 배우려고 한다.”

-이 영화를 웨스턴이라고 보는가.
“아니다. 러브스토리라고 본다.”

-아버지의 웨스턴 중 좋아하는 것은.
“‘언포기븐’으로 그 영화 이후 훌륭한 웨스턴이 나오질 않았다고 본다.”

-당신의 아버지는 웨스턴으로 유명한데 그 같은 평가를 어떻게 보는가.
“아버지는 35세 때 ‘황야의 무법자’에 나왔고 65세 때 ‘언포기븐’에 나왔다. 그 같은 진행이야 말로 남에게서 좀처럼 찾아볼 수 없는 모범적인 것이다.” 

-이 영화를 만들면서 아버지의 웨스턴을 생각했는가.
“아니다. 아버지의 웨스턴은 이 영화와 달리 다 옛날을 재현한 것이다. 난 아버지가 한 것을 결코 모방할 생각이 없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연기는 그 밖에 해낼 사람이 없다.”

-어렸을 때 아버지와 자란 경험은 어땠는가.
“아버지는 구식 사람이어서 내가 혼자서 성장하도록 만들었다 대학도 내 힘으로 갔다. 난 바텐더도 했고 공사장에서도 일했고 또 파킹장 밸릿도 했다. 아버지는 내게 아무 것도 결코 공짜로 준 것이 없다. 아버지도 그렇게 자랐기 때문이다.”

-왜 LA를 떠나 살았는가.
루크와 소피아가 승마의 랑데뷔를 하고 있다.
“모두 날 ‘응, 저 아이는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아들이야’라며 날 본격적인 배우로서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신은 로맨틱한가.
“그런 때도 있었다.”

-어떻게 해서 배우가 됐는가.
“난 늘 영화를 정열적으로 사랑했다. 반드시 배우가 되겠다고 생각한 것은 아니나 영화를 늘 사랑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했을 때 내 가장 친한 두 친구가 해군 특공대에 들어간다고 해 나도 생각이 있었다. 그런데 그 때 두 군데서 오디션이 있어 거기에 나온 뒤로 영화로 발길을 돌리게 됐다.”

-당신의 몸은 섹스심벌 감인데 언제부터 신체단련을 했는가.
“아버지가 육체가 건강해야 정신도 건강하다면서 내가 15세 때부터 신체단련을 하도록 시켰다. 건강하고 활동적일수록 부정적인 생각을 우리 안으로부터 씻어낼 수가 있다. 난 섹스심벌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또 그것이 되려고 신체단련을 한 것도 아니다.”

-왜 과거엔 잠잠히 있다가 이 영화로 처음 홍보활동을 시작하는가.
“이 영화에 대해 진실로 자랑스럽게 느끼기 때문이다. 과거에도 배우활동을 했지만 나설 필요를 못 느꼈었다. 이 영화는 좋은 영화여서 사람들이 다 봐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홍보활동이 편안한가.
“물론이다. 연기나 마찬가지다.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것이 연기나 마찬가지다.”    

-아버지가 유명하다는 것을 언제 알았는가.
“TNT 채널에서 방영하는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밤을 보면서였을 것이다.”

-아버지가 여자문제에 대해 어떤 조언이라도 해 주었는가.
“강인한 남자가 진짜 남자라는 것은 틀렸다는 것이다. 여자에게 있어 진짜 남자는 상냥하고 또 여자에게 문을 열어줄 줄 아는 품위가 있는 남자라는 것이다.”      

-아버지가 당신의 데이트에 관해 어떤 조언이라도 해주는가.
“독신인 아버지한테서 그런 조언 원치도 않는다.”                            

-어디 대학을 나왔는가.
“샌타바바라와 샌타모니카 시티칼리지를 나와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를 졸업했다.”

-아버지가 명성에 관해 어떤 조언이라도 해 주었는가.
“우린 둘이 마주 앉아 그런 얘기 해본 적이 없다. 그저 너 자신을 지키면서 현장에서 열심히 일하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겸손 하라는 것이었다. 결코 자만하지 말라는 것이다.”

-어렸을 때 아버지가 가르쳐준 것이 무엇인가.
“골프다. 그리고 아버지처럼 나도 파일럿이다.”

-어떻게 해서 이 영화에 나오게 됐는가. 
“할리웃은 이상한 곳이어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데 특별한 이유가 없이 그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내 경우도 마찬가지다. 거기에 운도 따라야겠다. 난 다만 이 영화가 성공해 내가 다른 훌륭한 영화에도 나오게 되기를 기대할 뿐이다.”

-굳이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는.
“니콜라스 스팍스의 다른 소설과는 달리 이 얘기는 보다 사실적이고 관계를 맺기가 얼마나 힘든 것인가를 솔직히 표현했기 때문이다.”

-당신은 아버지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는 전설로 나의 가장 위대한 영웅이다.”

-어떤 여자를 좋아하는가.
“신소리 안 하는 즉흥적이요 즐거운 여자다.”

-성을 바꿀 생각이라도 해 봤는가.
“아니다. 난 그저 머리를 숙인 채 지난 12년간 오디션에 나가고 영화에 안 나올 땐 남들처럼 일을 하면서 살았다. 내가 아버지의 성을 가진 내가 마음대로 어쩔 수가 없는 것 아닌가.”

-오디션 경험에 대해서 말해 달라.
“내 이름만 듣고 날 아예 보려고 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래서 어떤 땐 면접실에 밀고 들어가야 할 때도 있었다.”

-당신은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가.
“연어와 브라컬리다. 고기와 감자를 좋아한다면 아버지가 노발대발할 것이다.”

-어떻게 영화를 선택하는가.
“아버지처럼 각본과 감독에 따라서다.”

-황소 탔다가 다치기라도 했는가.
“탔다가 2초반 만에 내동댕이쳐졌다. 소가 내 얼굴을 밟아 뭉갤 정도로 가까운 거리에 나가 떨어졌었다. 일촉즉발의 위기의 순간이었다.”

-여자를 놀라게 해줄 선물로 무엇을 고르겠는가.
“꽃이다. 여자들은 늘 꽃을 좋아하니까.”

-당신에게 주어진 영화에 대해 아버지와 논의하는가.
“물론이다. 아버지는 조언을 해 준다. 때문에 영화에 출연해서는 안 된다면서 자신에게 좋은 역을 고르라고 말해준다.”

-어떤 것을 좋아하는가.
“나도 아버지처럼 구식이어서 블루스를 좋아한다. 텍스팅 별로 안 한다. 전화를 옆으로 치워 놓고 밥을 먹으면서 대화하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세상에 적응 안 할 수는 없는 일이니 텍스팅도 어느 정도는 한다. 그리고 난 야외활동을 즐긴다. 서핑과 잠수와 낚시를 즐기고 무술인 지우지추도 한다. 내 친구들도 다 그런 것을 좋아한다.”

-당신의 어머니에 대해 말해 보라.
“참으로 멋있는 여자다. 세상에서 가장 동정심이 많은 사람으로 전 생애를 남을 위해 기여하며 살고 있다. 명성 같은 것은 안중에도 없다. 최고의 엄마로 어머니를 생각할 때마다 난 목이 막힌다. 어머니는 내게 결코 서두르지 말라고 조언한다.”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