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4년 9월 9일 화요일

엘리노어 리그비의 실종: 그들(The Disappearance of Eleanor Rigby: Them)

사랑의 붕괴와 후유증, 시적 언어로 고찰


카너(제임스 매카보이·왼쪽)와 엘리노어(제시카 채스테인)가 사랑에 잠겨 있다.

서로를 지극히 사랑하는 30대 젊은 부부의 비극적 사건을 겪은 뒤 무너져 내리는 관계를 진지하고 감정적으로 고찰한 아름다운 드라마로 프랑스 영화풍이다. 네드 벤슨이 각본을 쓰고 감독으로 데뷔한 이 영화는 처음 찍을 때 부부의 얘기를 각기 남편과 아내의 입장에서 본 ‘남자’(Him)와 ‘여자’(Her)의 2편으로 만들었으나 이번에 개봉되는 영화는 이 둘을 합한 것이다. 그래서 제목에 ‘그들’이 붙었다. ‘남자/여자’를 합한 201분짜리는 10월10일에 개봉된다.
문학적이요 고상한 영화로 시적이요 철학적인 대사가 때로 과장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나 듣기 좋다, “비극은 다른 나라이다. 우리는 그 나라 원주민들과의 대화의 방법을 모른다”라든지 “나는 당신을 만나기 전까진 내가 누구인지를 전연 몰랐다”라는 말들은 아름답다.
붕괴되는 부부관계 외에도 사랑의 의미와 자식과 부모의 관계 그리고 비극의 후유증에 각기 다르게 대처하면서 사랑을 재연결시키고 아울러 자신들의 삶에 다시 불을 밝히려는 부부의 안간힘을 로맨틱하면서도 시적 사실주의적으로 그렸다. 
영화는 처음에 뉴욕에 사는 젊은 부부 카너(제임스 매카보이)와 엘리노어(제시카 채스테인)의 사랑의 유희로 시작된다. 이 때 카너가 엘리노어에게 “내 몸 속의 심장은 하나이니 내게 자비를 베푸소서”하고 사랑을 고백한다. 그런데 엘리노어라는 이름은 엘리노어의 대학 교수인 아버지 줄리안(윌리엄 허트)이 비틀즈의 노래제목을 따서 붙인 것이다.
이어 장면은 엘리노어가 뉴욕의 다리에서 강물로 뛰어내리는 것으로 변전하면서 우리는 서서히 엘리노어와 카너의 관계 붕괴의 원인을 알게 된다. 영화는 엘리노어와 카너의 입장에서 얘기되면서 한쪽의 얘기를 할 때면 다른 쪽은 화면에서 사라진다. 그런데 제목의 실종은 상징적인 것이다.
그리고 엘리노어는 코네티컷주에 있는 아버지와 어머니 메리(이자벨 위페르)의 집으로 숨어든다. 메리는 프랑스 여자로 줄담배에 포도주를 물마시듯 하는데 전직 바이얼리니스트다. 엘리노어와 그의 부모 간의 관계와 대화가 솔직하고 다정하게 묘사되는데 영화는 가족의 세대 간의 초상화와 함께 이들 각자 자신들의 삶에 대한 인식을 차분히 다루고 있다.
삶을 다시 추스르려고 애쓰는 엘리노어는 대학에서 릴리언 교수(바이올라 데이비스)가 가르치는 ‘아이덴티티 이론’을 청강하면서 릴리언과 우정을 맺는다. 그리고 파리에서 공부하다 중단한 인류학을 계속하기 위해 파리로 떠날 생각을 한다.
한편 카너는 친구인 스튜어트(빌 헤이더)를 셰프로 고용, 식당을 차리고 비극으로부터 떠나 앞으로 나아가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엘리노어를 찾아내 뒤쫓아 가나 둘은 서로를 지극히 사랑하면서도 무너지기 시작한 관계가 비극의 무게 때문에 쉽게 재 연결되지를 않는다.
감동적이고 보기 좋은 부분은 카너와 사업에서는 성공한 식당 주인이나 인생에선 실패한 카너의 아버지 스펜서(키아란 힌즈)와의 관계와 대화. 조용하고 깊이 있게 부자관계와 삶의 문제들을 얘기한다.
사랑하나 서로 멀어진 부부의 재연결 가능성을 가슴 깊숙이 파고들도록 흡인력 있게 그린 아담하고 엄숙한 영화로 강렬한 눈동자를 지닌 채스테인의 연약한 듯 하면서도 다부지고 감정 풍만한 연기와 매카보이의 꾸밈없는 순진한 연기가 좋은 조화를 이루면서 작품에 무게를 준다. 뉴욕현지 촬영과 음악도 훌륭하다. 성인용. Weinstein. 일부지역. 12일 개봉.   ★★★★(5개 만점)  <한국일보 편집위원 / hjpark1230@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