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8년 1월 19일 금요일

‘위대한 쇼맨’ 휴 잭맨




스리-링 서커스의 창시자인 P.T. 바넘의 삶을 그린 초호화 뮤지컬 ‘위대한 쇼맨’(The Greatest Showman)에서 바넘 역을 맡아 춤추고 노래 부르는 호주 태생의 휴 잭맨(49)과의 인터뷰가 최근 베벌리힐스의 포 시즌스 호텔에서 있었다. 영화의 음악은 지난해 ‘라 라 랜드’로 골든 글로브와 오스카상을 탄 저스틴 허위츠가 작곡했고 작사는 역시 ‘라 라 랜드’로 골든 글로브와 오스카상을 탄 저스틴 폴과 벤지 파섹이 했다.
그런데 바넘과 후에 동업자가 된 제임스 베일리가 1881년에 세운 ‘바넘 & 베일리’ 서커스는 1919년 링글링 형제 서커스와 합병, 링글링 브라더스 앤드 바넘 & 베일리 서커스로 불리다가 지난 5월에 폐쇄했다. 큰 키에 호남형인 잭맨은 매우 상냥하고 겸손했는데 큰 제스처와 함께 만면에 미소를 지으면서 진지하게 질문에 대답했다. 스타 티를 안내는 서민적인 사람이어서 더 호감이 갔다. 그는 필자의 영어 이름이 H.J. 라는 것을 알고 자기 이름의 두 문자와 같다고 웃으며 반가워했다.


“춤추는 장면 위해 10주간 매일 10시간씩 리허설”


-만나본 사람들 중에 가장 위대한 쇼맨은 누구인가.
“멜번의 한 카페를 무대로 노래 부르던 록 그룹 ‘멘 앳 웍’의 리드 싱어 콜린 헤이다. 그는 솔로로도 유명했는데 내 아내 데브의 가까운 친구이기도 하다. 그는 청중을 다룰 줄 아는 재주를 지녔는데 노래 하다가 멈추고 얘기를 하면서 청중을 매료시켰다. 그리고 저스틴 팀벌레이크와 비욘세와 스팅도 위대한 쇼맨들이다.” 

-첫 서커스를 구경한 소감은.
“다섯 살인가 여섯 살 때였다. 아버지와 함께 갔는데 아버지는 팝콘이 비싸다고 음식을 장만해 가 그것을 먹으면서 봤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어릿광대를 보면서 우습다기보다 슬프다고 느꼈다. 그 서커스는 처음으로 동물을 동원하지 않은 서커스 중 하나다.”

-춤추고 노래하는 장면을 위한 리허설이 힘들었는지.
“영화는 4년간의 작업 끝에 만들어졌다. 일단 브로드웨이의 뛰어난 연예인들과 2주간 리허설을 한 뒤 영화를 찍기 전 10주간의 리허설에 들어갔다. 그렇게 오래 걸린 것은 할리웃 황금기의 명 댄서 진 켈리가 춤추는 장면을 위해서 8주간의 리허설을 했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 그보다 2주는 더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매일 하루에 10시간 씩 영화의 모든 춤 장면을 리허설 했다.”

-당신의 아이들(17세난 아들 오스카와 12세난 딸 에이바)도 연예인이 되려고 하는가.
“난 그저 아이들에게 그들이 사랑하는 것을 추구하라고 격려할 뿐이다. 난 연기를 사랑하나 때로 힘들 때가 있다. 자기가 사랑하는 것을 추구하려면 용기가 필요하다. 결코 늘 편안하지만은 않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 매우 민감한 사람이었나.
“난 아직도 민감하다. 젊어서 아버지에게 내가 배우가 되겠다고 말했더니 아버지는 ‘좋아’라고 말하면서도 내가 너무 민감하고 부끄러움이 많아 걱정이라고 했다. 나는 요즘에도 내 영화에 관한 평을 읽지 않는 이유는 나쁜 부분만 기억하기 때문이다. 내가 깨달은 것은 그저 최선을 다 해 앞으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배우로서 끊임없이 비판을 받는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닐 텐데.
“그렇긴 하다. 그러나 자기가 믿는 것을 행하는 데는 위험 부담이 있게 마련이다. 때로 실패해도 괜찮다는 사실과 타협해야 한다. 바른 이유로 한 일이 실패했을 때는 후회하지 않아도 좋다. 이 영화에 나온 것도 잘 만들어지지 않는 뮤지컬에 대한 믿음과 함께 도전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바넘은 스웨덴 가수 제니 린드(레베카 퍼거슨 분)에게 완전히 매료되는데 실제로도 그렇게 누구에겐가 매료된 적이 있는가.
“초등학생 때 아버지와 함께 구경한 고등학생들이 나오는 뮤지컬 ‘맨 오브 라 만차’의 주인공 휴고 위빙을 보고 그의 연기에 완전히 반했었다. 후에 배우가 된 위빙은 당시 17세였다. 그의 노래와 연기에 감복해 뮤지컬의 레코드를 사 반복해 들었다. 최근에 크게 매료됐던 것은 뮤지컬 ‘디어 에반 핸슨’의 주인공 벤 플랫의 노래와 연기다.”

-세실 B. 드밀이 감독해 골든 글로브와 오스카 작품상을 탄 ‘지상 최대의 쇼’도 바넘의 서커스 얘기인데 참고로 이 영화를 봤는가.
“안 봤다. 난 영화에 나오기 전에 비슷하거나 같은 내용의 작품을 안 본다. ‘레 미제라블’에 나왔을 때도 같은 내용의 다른 영화들을 안 봤다. 일단 같은 내용의 작품에 대해 어떤 말을 듣거나 또 그것을 보게 되면 내 직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배우는 영감을 찾아가야 한다고 믿는다. 스스로가 맡은 인물을 찾아내야 한다.”
 
P.T. 바넘(중앙)이 서커스 단원들에 둘러싸여 노래를 부르고 있다.

-바넘에 이어 실제 인물들인 미 정치인 게리 하트(민주당 대통령 후보 제1순위였으나 혼외정사가 드러나 중도하차)와 이탈리아의 스포츠카 재벌 엔조 페라리로 나오는데 실제 인물들을 연기하는데 어떤 책임감이라도 느끼는지.
“게리 하트는 아직 살아 있어 하기에 압박감과 책임감을 더 크게 느낀다. 그러나 무슨 역을 하든지 늘 그 역의 직업과 같은 사람들이 있게 마련이어서 어차피 책임감을 피할 수는 없다. 바넘 역을 충실히 하기 위해 그에 관한 책을 37권이나 읽었다. 이 영화는 문자 그대로의 뮤지컬이라기보다 바넘이라는 인물과 그의 삶에 대한 고찰이라고 해야 좋을 것이다.”

-살아 있는 사람 중에 만나고 싶은 사람은 누구인가. 
“교황이다.”

-갖고픈 드림 하우스라도 있는가.
“아내와 아이들과 함께만 있다면 난 어디서든지 행복하다.”

-이 영화에 출연하게 된 계기는.
“내가 지난 2009년 오스카 시상식에서 사회를 맡아 춤추고 노래를 부른 뒤 이 영화의 제작자인 래리 마크가 날 찾아왔다. 그는 사람들은 나를 지금까지 ‘울버린’으로만 기억하고 있는데 이제부터는 브로드웨이 쇼맨이라고 알게 될 것이라면서 뮤지컬을 하자고 제안했다. 그래서 난 좋다고 했다. 그 때까지 23년간을 어떤 스튜디오도 창작 뮤지컬을 제작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전해보고 싶었다. 뮤지컬은 참으로 만들기가 힘들다. 그 것은 음악의 에베레스트 산이나 마찬가지다. 관객이 처음 듣는 음악을 작곡해 그들을 감동시킨다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노래와 음악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가야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이 영화 만드는데도 7년이나 걸렸다.”

-무대에 올라 춤추고 노래 부를 때 어떤 기분인가.
“난 다섯 살 때부터 무대에 섰는데 늘 무대에 오르면 편안했다. 마치 집에 있는 것 같은 느낌으로 무대에서 내려 왔을 때보다 올라갔을 때가 더 편하게 느껴졌다. 무대에 오르면 전연 생면부지인 관객과 연계되는 것을 느끼곤 하는데 그것은 실제 삶에서 좀처럼 경험하기 어려운 일이다. 바로 무대의 마술이다. 난 관객들이 웅성거리는 소리를 듣는 것을 좋아한다. 그것은 날 흥분시킨다. 그래서 오스카 시상식 때도 내가 무대에 나서지 않을 땐 무대 옆에서 서 있었다. 난 매일 같이 이것이 마지막 공연이라는 생각으로 무대에 선다. 특히 춤추고 노래 부를 땐 내 안에서 무언가 다른 것이 솟아난다. 영화 할 때와는 다르다.”

-과거의 삶과 지금의 그것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난 젊었을 땐 모든 것을 너무 세기말적으로 생각했다. 애인과 이별했을 때 그것이 세상의 끝인 줄 알았고 학기말 시험에 낙제를 하고선 내 인생은 끝이구나 하고 생각했다. 그래서 인생을 크게 즐기질 못 했다. 그러나 그런 과거의 투쟁이 없었다면 지금의 나도 있을 수가 없다고 믿는다. 난 요즘엔 매일 아침 조용히 명상을 하면서 하루의 삶을 구상한다. 그리고 저녁에는 그 날의 내 하루를 돌아보며 점수를 매긴다.”

-이 영화에서 가장 하기 어려웠던 부분은 무엇인가.
“‘컴 얼라이브’를 노래 부르며 춤 출 때가 가장 힘들었다. 나이 49세가 되니 다리와 무릎이 제대로 말을 안 듣는다. 난 그 동안 춤을 많이 추었지만 이 영화처럼 힘들기는 처음이다. 그리고 노래도 고음으로 불러야해 쉽지가 않았다.”

-아침에 명상하는 것 말고 무엇 다른 것으로 시작하는 것은 없는지.
“내 친구의 아버지가 비뇨기과 의사인데 그의 말에 따라 아침에 최소한 2리터의 물을 마신 뒤 커피를 마신다. 그리고 운동을 하고 명상한다.”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