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6년 6월 20일 월요일

'마블 코믹스 창시자' 스탠 리




벽을 기어가는 파리 보고 ‘스파이더-맨’영감 받아



영화로 만들어져 전 세계에서 빅히트를 하고 있는 마블 코믹스의 주인공들인 X-멘과 스파이더-맨 그리고 아이언 맨과 인크레더블 헐크 등을 창조한 스탠 리(93)와의 인터뷰가 지난달 25일 할리웃에 있는 할리웃 외신기자협회(HFPA)에서 있었다. 점퍼차림에 선글라스를 쓴 리는 90대라곤 믿어지지 않을 만큼 정정하고 활기에 넘쳤는데 귀가 잘 안 들려 질문을 옆에서 반복해줄 통역사를 대동하고 있었지만 대답하는 음성은 크고 내용도 정확했다. 리는 유머가 굉장히 많은 사람으로 시종일관 농담과 위트를 구사해가면서 대답했는데 연기하듯 손으로 큰 제스처를 써가면서 신나게 인터뷰를 즐겼다. 인터뷰 후 필자와 기념사진을 찍을 때 필자가 자신을“한국사람”이라고 소개하자 리는“남한이지”라며 웃었다.  

-당신은 당신의 만화를 원작으로 만든 영화에 캐미오(잠깐 얼굴을 비추는 것)로 나오기를 즐기는데 그것은 누구의 아이디어인가.
“우연한 일이다. 브라이언 싱어 감독이 첫 ‘X-멘’ 영화를 찍을 때 나더러 해변의 핫독 장사 노릇을 시켰다. 그 후 ‘스파이더-맨’을 찍을 때 감독이 나보고 ‘당신 X-멘’에서의 캐미오가 좋던데 내 영화에서도 해보라고 제안해 나왔고 그 다음부턴 캐미오가 습관이 돼버렸다.”

-그러면 배우노조 카드도 있겠네.
“캐미오 때문에 받은 것은 아니고 오래 전에 프랑스 감독 알랭 르네의 영화에 나온 탓에 카드를 받게 됐다.”

-당신은 언제 당신의 수퍼히로들을 만들기로 결정했는가.
“난 책을 읽기를 좋아해 책 속의 모든 주인공들이 내겐 수퍼히로들이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인물은 셜록 홈즈다. 내가 수퍼히로들을 만들게 된 이유는 수퍼맨 때문이다. DC 코믹스에서 수퍼맨을 창조, 히트하자 내 출판사 사장이 나더러 ‘당신도 수퍼히로를 만들어보라’고 제의해 X-멘, 스파이더-맨 및 헐크 등을 만들게 된 것이다.” 

-어디서 영감을 받았는가.
“스파이더-맨이 나오게 된 동기는 이렇다. 어느 날 벽을 기어가는 파리를 보던 중 파리처럼 벽을 타고 올라갈 수 있는 수퍼히로를 만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떠올랐다. 그리고 이름을 생각했는데 ‘인섹 맨’ ‘플라이 맨’ ‘모스키토 맨’ 등 잡다한 이름을 생각하다가 스파이더-맨이 좋겠다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그 때까지의 다른 수퍼히로들과는 달리 하기 위해 주인공을 개인적 문제가 많은 틴에이저로 만들기로 했다. 이 아이디어를 출판사 사장에게 말했더니 사장이 ‘내가 들은 아이디어 중 가장 나쁜 것’이라고 핀잔을 주었다. 그러나 내가 출판사의 만화 중 폐간하는 ‘어메이징 팬터지’ 마지막 호에 스파이더-맨을 그려 슬쩍 집어넣었는데 이것이 빅히트를 하게 된 것이다.”               
스탠 리가 그린 만화‘X-멘’.

-DC 코믹스의 만화가요 공동사장인 한국계인 짐 리를 잘 아는가.
“몇 번 만난 적은 있으나 잘 알지는 못한다. 그러나 나는 그가 훌륭한 화가요 얘기꾼이라는 것을 잘 안다. 우리만은 못하지만.”

-당신을 ‘만화의 왕’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만화 잘 그리고 쓰는 다른 사람들도 많은데 겸연쩍은 소리다. 난 때를 잘 만나는 운이 좋았다. 내가 만화를 시작했을 때 다른 만화가들은 다 어린아이들을 위한 만화를 그려 별로 글들이 안 좋았다. 그러나 나는 어른들을 위한 만화를 만들자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는 남을 위해 얘기를 쓰는 것이 아니고 내가 읽고 싶은 얘기들을 쓰기로 했다. 좌우간 나는 나를 왕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탈리아의 거장 페데리코 펠리니도 당신의 팬이라고 들었는데.
“내 사무실이 뉴욕에 있을 때 그가 나를 만나러 왔다. 검은 레인코트를 어깨에 걸친 멋쟁이였다. 그는 영화인으로서 또 인간으로서 모두 훌륭한 사람이다.”

-DC 코믹스와는 늘 라이벌 관계였는가.
“우리가 그들보다 월등한데 라이벌이 될 수 있겠는가. 이 건 농담이다. 우린 서로 잘 알고 친구처럼 지냈다. 재미있는 얘기 하나 하겠다. 우리 이름은 처음에는 애틀라스 코믹스였다. 우리의 만화가 잘 팔리면서 회사명을 고치기로 하고 생각해낸 것이 마블이었다. 그런데 우리를 따라 당초 이름이 내셔널이었던 저들도 DC 코믹스로 개명하더라.”

-할리웃이 당신 만화를 영화로 만들 것이라고 짐작했었는가.
“전연 생각을 못했다. 우린 그저 만화가 잘 팔리기만을 기다렸다. 그래야 먹고 사니까. 이렇게 블락버스터가 될 줄은 꿈에도 생각 못했다.”

-어느 영화가 가장 잘 당신의 만화를 잘 나타냈다고 보는가.
“전부 다 훌륭하다. 그 중에서도 ‘아이언 맨’이 가장 내 뜻을 잘 나타냈다고 본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를 선택한 것은 아주 잘한 일이다. ‘스파이더-맨’과 ‘X-멘’도 아주 좋다. 그러나 내가 만든 인물들이 590명에 가까워 다 기억을 못하겠다.”

-수퍼히로의 인기는 얼마나 계속될 것으로 보는가.
“끝나지 않기를 바란다. 우린 어렸을 때 다 동화를 보면서 자랐다. 나이를 먹으면서 동화를 더 이상 읽지는 않지만 우리는 보통 사람들이 할 수 없는 일을 하는 사람들의 얘기에 대해 결코 싫증을 느낄 수가 없다. 나는 수퍼히로들의 얘기를 어른들을 위한 동화라고 본다.”

-어린 팬들이 당신을 보면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산타클로스로 생각한다. 식당에서도 아이들은 자기들 엄마와 함께 나를 찾아와 함께 사진 찍자고 부탁하는데 참 좋은 일이다.”

-TV에 나오는 당신 만화를 원작으로 만든 시리즈를 보는가.
“난 귀가 잘 안 들리고 눈도 침침해 TV를 안 보나 그에 대한 얘기는 읽고 있다. 그리고 난 몇 작품에 캐미오로 나왔다. 그래서 내가 나오는 시리즈가 인기가 좋다.”          

-당신의 작품은 현 시세를 어느 정도로 반영하고 있는가.
“난 세상일에 뒤 떨어지지 않으려고 라디오를 경청한다. 그리고 내 작품에 가급적 시의를 충실히 반영하려고 노력한다. 현실에 충실하자는 것이다.”

-당신 만화에는 과학적 용어도 많고 또 공상과학적인 면도 많은데 과학 지식이 깊은가.
“과학적으로 들리게 하려고 하는 것이다. 감마 레이나 코즈믹 레이 같은 용어를 쓰고 있지만 솔직히 말해 난 그것이 무엇인지 모른다.”                       

-만화의 수퍼히로들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들의 대성공은 영화계를 변화시켰을 정도다. 그래서 사실에 입각한 내밀한 드라마들을 만들기가 힘들어졌다는 소리도 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수퍼히로들의 장소는 늘 있다고 본다. 사람들은 자신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얘기에 결코 물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보통 사람들의 보통 얘기도 설 자리가 있다고 본다. 내 작품 중 여러 편의 인기 있는 것들도 다 사실적인 얘기들이다. 지금은 수퍼히로들의 영화가 너무 많은 것 같지만 때가 되면 다른 드라마와 균형을 맞추게 되리라고 본다.”

-사람들이 수퍼히로에 지칠 것으로 보는가.
“모든 것이 다 지나치면 지치게 마련이다. 그러나 우리 마블사는 영리해 팬들이 보고 싶어 하는 얘기를 만들려고 진력하고 있다. 궁극적인 판단은 대중에 달려 있다. 그들이 이제 됐다고 느끼게 되면 영화도 장사가 잘 안 될 것이다.”

-당신의 작품에 있는 유머는 어디서 오는가.
“어디서 오는지는 모르겠지만 난 코미디를 좋아한다. 난 수퍼히로 얘기 쓰는 만큼이나 우스운 얘기 쓰는 것을 좋아한다. 난 코미디언 친구들이 많다.”

-당신의 인생에 있어 가장 좋았던 때와 나빴던 때는 언제인가.
“가장 좋았던 때는 내 회사 사장이 나쁜 아이디어라고 한 ‘스파이더-맨’이 잘 팔린 일이고 가장 나빴던 때는 내가 오래 전에 우리 영웅들을 영화로 만들자고 제안했을 때 거절당했을 경우다. 그 멍청이 책임자가 한다는 소리가 사람들이 영화를 안 좋아하면 만화도 안 팔린다는 것이다.”

-당신의 부인 조운 클레이턴(1947년에 결혼해 두 딸을 두었다)은 어떤 사람인가.
“나는 하루 종일 집에서 타이프라이터에 매달려 글을 쓰는데도 아내는 나를 가만히 내버려 둔다. 아내는 자기 할 일을 잘 만드는데 특히 집 안 자익하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난 아내가 만화를 한 번도 읽지를 않았다는 것도 안다. 그러나 아내는 내가 개밥을 살 돈과 집안 장식을 할 수 있는 돈을 버는 한 개의치 않는다. 참 멋있는 여자로 나는 이 세상에서 가장 운이 좋은 사람이다.”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