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2014년 4월 1일 화요일

‘달라스 바이어즈 클럽’ 매튜 매코너헤이

“영화 위해 47파운드 감량, 건강엔 문제 없어”




제86회 올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달라스 바이어즈 클럽’으로 남우주연상을 탄 매튜 매코너헤이(44)와의 인터뷰가 이 영화가 토론토 국제영화제에 출품됐을 때인 지난해 9월 토론토에서 있었다. 매코너헤이는 1980년대 실제 인물로 동성애자를 오물 보듯 하던 텍사스의 약물을 즐기는 술꾼 전기공 론 우드러프로 나와 에이즈에 걸린 뒤 오히려 동성애자들을 비롯한 에이즈 환자들을 돕는 구원의 천사 역을 영혼을 불사르듯이 연기한다. 그는 역을 위해 체중을 47파운드나 뺐다. 우드러프는 멕시코에서 사제 에이즈 약을 매입, 미국으로 밀반입한 뒤 자기도 복용하고 다른 에이즈 환자들에게도 팔았는데 이 약 덕분인지 의사의 1개월 시한부 인생이라는 진단과 달리 7년을 더 살다가 1992년 42세로 사망했다. 언제나 봐도 호남인 매코너헤이는 만면에 미소를 지으며 인터뷰에 응했는데 텍사스 태생이어서 코맹맹이 액센트가 있는 소리와 함께 두 손으로 활발한 제스처를 써가면서 차근차근히 질문에 답했다. 매우 진지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받았는데 질문에 대해 심사숙고한 뒤 대답하면서 가끔 유머도 구사했다. 말을 함부로 하지 않는 사람 같았는데 쏘아보는 파란 눈동자가 날카로웠다.          

―영화를 위해 체중을 엄청나게 뺀 줄 아는데 그 과정에 대해 말해 달라.
“출연에 응한 뒤 영양사를 만나서 영화에 나오기 전까지 4개월간 그가 마련한 식단대로 음식을 먹었다. 밖에 나가면 내가 좋아하는 스테이크 집을 찾아갈 것 같아 아예 외출을 안 했다. 은둔자처럼 지냈는데 하루에 3.5파운드씩 줄었다. 목표 체중인 135파운드에 이르렀을 때 체중 줄이기를 마쳤는데 내 평균체중이 182파운드니 47파운드를 뺀 것이다. 그러나 건강에 문제는 없었다. 그런데 체중이 줄면서 가슴 아래로는 힘이 빠졌지만 그 위로는 오히려 날카로워지더라. 그리고 줄어든 체중 때문에 밤에 잠을 보통 때보다 3시간 덜 자도 됐다.”

―구체적으로 무얼 먹었나.
“생선과 야채를 소량 섭취했다. 다이어트 코크 같은 것도 안 마셨다. 그러니까 사실은 건강식만 먹은 셈이다.”

―영화는 편견적인 사람이 피할 수 없는 상황에 맞닥뜨려 마음을 여는 내용인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나는 아주 젊었을 때부터 나와 다른 사람을 만나 공통분모를 찾고 그들과 공존하기 위해 세계여행을 즐겼다. 내가 LA에 간다고 하니까 사람들이 내게 거기에는 별 이상한 종교도 있고 머리를 파랗게 염색한 사람들이 있으며 또 게이들이 많다고 하더라. 그래서 난 그거 좋을 일이구만이라고 응했다. 론의 경우를 말하자면 그는 편견적이요 상놈이다. 그런 그가 에이즈에 걸리고 나서 자기가 평소 멸시하던 사람과 같은 처지가 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를 자신의 과거를 뉘우치는 사람으로 묘사하려고 하지 않았다. 단지 그가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는 모습을 보여주면 거기서 자연스럽게 그의 구제자로서의 특성이 나타나리라고 생각했다.”

―론 우드러프에 관해 연구할 때 그의 가족의 도움을 받았는가.
“가족이 큰 도움을 주었다. 특히 그의 일기를 보고 론이라는 사람을 잘 알게 됐다. 그는 중1과정만 마친 사람으로 한 번도 무언가를 끝마친 적이 없었다. 그런 그가 에이즈 환자가 되면서 의사들보다 더 그 병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됐고 과학자가 된 것이다. 그는 매우 고독하고 갈 길을 잃었던 사람인데 에이즈 환자가 되면서 비로소 생애 처음으로 무언가 붙잡고 매달릴 일이 생긴 셈이다.” 

―론은 사제 에이즈 약을 팔아 이득을 많이 남겼는가. 그리고 그의 여자관계는 어땠는가.
“론은 결코 구세군이 아니었다. 그는 금과 캐딜락을 좋아했다. 에이즈 약을 사러온 사람이 돈이 모자라면 되돌려 보냈다. 그의 여자관계는 매우 문란했다. 에이즈에 걸리고 나서도 보호책 없이 여자와 섹스를 했는데 당시 에이즈 환자들은 진짜로 모두 함께 환자가 되자는 심정으로 아무 대책도 없이 섹스들을 했었다.”

―당신은 영화에서 완전히 론이 되는 변신을 하는데 그 과정에 대해서 얘기해 달라.
“영화를 만드는 4개월간 난 완전히 다른 사람이었다. 나도 론이 한 대로 에이즈에 관한 책을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또 연구도 많이 했다. 덕분에 난 매우 과학적인 사람이 됐다. 그리고 그가 완전히 국외자가 됐듯이 나도 나 자신을 고립시켰다. 론이 의사의 말과 달리 7년을 더 산 것은 그의 분노 탓이다. 그것이 그를 보다 활동적으로 만든 삶의 자극제가 된 셈이다.”     

―당신이 두문불출하면서 갈비씨가 되는 것을 보는 아내와 아이들의 반응은 어땠는가. 
“매일 같이 조금씩 줄어들었기 때문에 그들은 별로 심각히 느끼질 못했다. 한 번은 딸이 내게 ‘아빠 목이 왜 기린처럼 길어지고 있어요’라고 물은 적은 있다. 어느 날 벽에 비친 내 실루엣을 보니 해골처럼 보여서 기분이 으스스하더라. 진짜 날 보고 놀란 사람은 내 어머니로 오래간만에 날 본 어머니가 ‘너 어떻게 된 거니’라고 물으셨다. 가족은 전적으로 날 지원했다. 그런데 은둔자가 된다는 것은 당분간은 정신적으로 건강한 일이라고 본다.”

―당신은 모두 여섯 살 미만의 2남1녀를 두고 있는데 가정생활은 어떤가. 아이를 더 가질 생각인가.
사제 에이즈 약을 파는 두 에이즈 환자 파트너인 재렛 레토(왼쪽·
오스카 조연상)와 매튜 매코너헤이.
“아주 즐겁고 좋다. 모두 건강하다. 나는 영화를 찍을 때면 아내와 아이들을 모두 함께 데리고 다닌다. 그리고 좁은 트레일러에서 같이 산다. 좀 불편은 하지만 서로 가깝게 보낼 수 있어 좋다. 아내의 건강을 위해서 아이는 이제 그만 낳으려고 한다.”

―당신은 과거 여러 편의 로맨틱 코미디에 나왔으나 최근 들어 이 영화처럼 극단적인 인물 역을 맡고 있는데 스스로 그러기로 결정한 것인가.
“모두 내 결정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페이퍼 보이’와 ‘킬러 조’ 및 ‘매직 마이크’는 내가 결정했다기보다 내게 주어진 것이다. 난 영화와 영화 사이에 영감을 얻기 위해 어느 정도 휴지기간을 둔다. 최근 내가 맡은 역들은 대부분 반 영웅들인데 그들은 스스로 자신들의 규칙을 세우는 사람들이며 또 자기 자신만의 형태를 창조하는 사람들이어서 하기가 아주 즐겁다. 난 상상력이 만개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그 상상력을 동원해 반 영웅들을 만화 같은 인물들이 아니라 인간적인 인물들로 표현하려고 노력한다.” 

―당신이 집에서 굶으면서 가족에게 이것이 끝나면 성대한 외식을 대접하겠다고 약속이라도 했는가.
“아니다. 그들은 매일 같이 잘 먹었다. 그런데 그 음식은 내가 요리한 것이다. 난 가족에게 거의 매일처럼 진수성찬을 요리해 대접했는데 난 그저 손가락만 빨았을 뿐이다. 고약한 쾌감이 생기더라. 그러나 재미있었다. 우리 집에서는 요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론은 결코 좋아할 수 없는 사람인데 당신은 그를 연민에 찬 모습으로 보여주었다. 이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그는 천박한 편견주의자이자 호모를 사갈시한 사람이었다. 나는 그러나 그가 조금이라도 인간적인 점을 가지고 있다면 그에게 연민을 느낄 수 있다는 생각으로 그에게 접근했다. 그렇다면 그를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그의 내면에 있을 인간성에 기대를 걸었지 그를 도덕적으로 판단하려 하지도 또 옳고 그름을 따지려고 하지도 않았다.”

―체중을 47파운드나 줄이면서 극단적인 역을 한다는 것이 때로 위험하다는 얘기를 들었는가.
“상황이 요구해서 체중을 줄인 것이지 어떤 허영이나 과시를 위한 것이 아니었다. 난 론의 사진을 보고 그 즉시 그를 책임 있게 표현하려면 체중을 줄여야겠다고 결심했다. 그러니까 내가 체중을 줄인 것은 극단적인 것을 위한 극단적인 행위가 아니었다.”

―이 영화 이후 약이나 의사에 대한 생각이 바뀌기라도 했는가.
“난 늘 서양식 처방에 대해 우려를 하고 있다. 우리는 너무 많은 처방약에 의존하는데 그 것은 여러 가지 식품 첨가물을 좋아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것은 항상 문제를 해결해 주지는 못한다. 그보다는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과 물과 숨 쉬는 공기에 대해 신경을 보다 더 써야 한다고 본다.”

―당신은 세계여행을 즐긴다고 했는데 아이들에게도 그것을 권장하는가.
“물론이다. 문화는 좋은 교육이다. 아이들이 앞으로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자기와 다른 것과 새로운 것을 사랑할 줄 알고 또 그것에 적응하도록 권장할 것이다. 어린 내 딸은 뉴욕이 수많은 다른 사람들과 색깔이 있어서 좋다고 한다.”

―역을 마치고나서 감정적인 후유증이라도 있었는가.
“영화에 나온 경험은 마치 로데오에서 황소를 탄 것 같은 기분이었다. 전신이 탈수현상을 겪는 것 같았지만 그것은 기분 좋은 탈진이었다. 모든 역은 다 심한 신체단련 훈련 같지만 난 그것을 즐긴다.”                  <한국일보  편집위원/hjpark1230@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