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르친다는 것은 남의 말을 경청하는 것”
‘상대방을 멋있게 보이게 하라’가 내 연기철학 중 하나
가족이나 자기 문화 테두리 벗어나야 다른 문화 배워
소품 코미디 드라마‘운전교습’(Learning to Drive)에서 남편에게서 버림받은 맨해턴의 중년 부인 웬디(패트리샤 클락슨)에게 운전을 가르쳐주는 시크교도로 정치망명한 인도계 미국인 선생 다완으로 나오는 벤 킹슬리(71)와의 인터뷰가 베벌리힐스의 포시즌스 호텔서 있었다. 민둥머리에 액센트가 있는 굵은 음성의 킹슬리는 나이보다 젊어 보였는데 인터뷰에 만반의 준비라도 하고 나온 듯이 모든 질문에 즉각적으로 매우 진지하게 대답했다. 날카로운 눈매를 한 그는 에너지로 가득 찼는데 유머와 함께 강한 설득력을 구사하면서 마치 선생이 강의를 하듯이 물음에 답했다.
―당신과 자동차와의 관계는 어떤지.
“아주 좋다. 난 영국의 시골에 살기 때문에 스틱십 자동차를 몬다. 그런데 난 점차 상품화하면서 운전사가 날 태우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집에 있을 땐 큰 랜드로버 디펜더를 운전한다. 그 걸 타고 시골길을 운전하는 것은 아주 즐겁다. 시골이긴 하나 매우 분주한 농촌이어서 좁은 길에서 다른 차에게 양보를 할 줄 아는 미덕이 필요하다.”
―이 영화는 관계와 사랑의 얘기인데 당신의 삶은 당신에게 그것들에 대해 무엇을 가르쳐 주었는가.
“배우로서 관계에 대해 배운 것은 상상이 아닌 실제와 상대하라는 것이다. 내 상대 역과 환상적인 인물로서가 아니라 실제 인물로서 관계를 맺자는 것이다. 연기는 내게 항상 진짜로 거기에 있는 진짜 사람과 함께 하라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시인 릴케는 이런 말을 했다. ‘사랑은 두 사람이 서로 만나고 인사하고 반기는 것이다.’ 이 영화도 바로 그런 내용이다.”
―당신의 개인으로서의 삶과 배우로서의 생애를 되돌아볼 때 무언가 고치고 싶은 것이라도 있는지.
“과거로 돌아가 무언가를 고친다는 것은 끔찍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고 생각한다. 과거에 일어난 일들 때문에 내가 바로 지금 이 자리에 있는 것이다. 과거에 실망스런 감독들과 일도 했고 또 옳지 못한 이유로 관계도 맺어 봤지만 과거를 고친다는 것은 내게 있어 거짓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내게 있어 매일은 다르고 또 멋있는 도전이다.”
―당신은 다양한 역을 연기했는데 그 중 어느 인물이 가장 하기 힘들었나.
“난 늘 나와 내가 맡은 인물을 가로지르는 직선을 찾아내기 때문에 해 내기가 굉장히 힘든 역이 없었다고 해도 되겠다. 가장 막중한 책임을 느낀 것은 ‘쉰들러 리스트’의 유대인 역이다. 그러나 그 역은 책임감만큼이나 기쁨도 컸다. 연기를 할 때면 매일 보상과 함께 기쁨을 누리기에 아무리 힘들어도 힘든 줄을 모른다고 할 수 있다.”
“그 질문에 대답하기 전에 보다 많은 영화를 더 봐야 하겠지만 지금 당장 머리에 떠오르는 영화는 빔 벤더스 감독의 ‘욕망의 날개’(Wings of Desire)다.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분리 그리고 천사와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에 관한 아름다운 시적 영화다.”
―다완은 웬디에게 중매결혼이 연애결혼보다 오래 간다고 말하는데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나.
“난 몇 번 결혼을 했지만 한 번도 중매결혼은 아니었다. 영화에서 웬디는 여동생이 주선한 데이트 상대와 그 날 밤으로 섹스를 하고 그 관계도 끝나지만 다완은 중매결혼을 하고도 선뜻 침대에 들지를 않는다. 두 남녀의 관계는 서서히 알고 이해하고 또 사랑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더 아름답게 영글게 된다고 본다.”
―당신도 다완처럼 인내심이 있는 좋은 선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나.
“나는 미국과 유럽과 영국의 대학에서 매스터 클래스를 지도한 경험이 있다. 영문학과 연극을 가르쳤는데 연극반 학생들의 연기를 보고 비판하지를 않았다. 단지 ‘잘 했다. 자 이제 다음 단계로 가자’라고 말했다. 가르친다는 것은 그런 의미에서 남의 말에 경청한다는 것이라고도 하겠다.”
―당신은 나이가 훨씬 어린 아름다운 브라질 여인을 아내(31세 연하의 배우 다니엘라 바르보사 데 카르네이로)로 두었고 3남1녀가 있는 아버지로서 계속해 많은 작품에 출연하고 있는데 도대체 그 에너지가 어디서 오는 것인가.
“아내 때문에 에너지를 잃는다. 세트에 도착하면 매일이 다르다. 나는 얘기꾼인 셈인데 그 일이 내게는 매우 스릴 있고 흥분되며 또 만족스럽다. 자기가 맡은 일을 충실히 하면서 젊게 느끼면 된다. 내가 맡아 하는 한 인물을 수많은 사람들이 알게 된다는 것은 참으로 흥분되는 일이다. 난 늘 사람들이 만나고 싶어 하는 인물을 창조하기를 원한다.”
―영화 출연과 가정생활과의 균형을 어떻게 맞추는지.
“우리 가족은 시골에서의 단순한 삶을 살면서 자신들을 살찌운다. 정원을 가꾸고 음식을 만들고 하는 상냥한 가정생활을 우리는 사랑하고 즐긴다. 난 연기가 실제 삶으로부터 자양분을 공급 받는다고 믿는다. 장을 보는 것을 비롯해 일상의 여러 가지 일들이 내게 연기를 가르쳐 준다고 생각한다.”
―당신이 사는 작은 마을의 주민들과는 어떻게 지내는지.
“그 관계는 아주 아름답다. 한 번은 마을 공회당을 위한 자금이 필요한 경우가 있었는데 그래서 난 자금 마련을 위해 공회당에 촛불을 잔뜩 켜 놓고 D.H. 로렌스를 비롯한 작가들의 시와 편지들을 낭독했다. 수천 파운드를 거뒀다. 근면한 사람들이 사는 아름다운 마을에 사는 것에 대한 내 갚음이었다.”
―돈과 명성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
“그것은 친절하고 현명하게 써야 되는 것이다. 명성의 특혜 중 하나는 내가 여러분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젊은 배우들이 읽고 ‘옳구나 그 말이 맞아’라고 동의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명성에는 큰 책임이 따르는데 난 언제나 그것을 이용해 젊은 배우들의 귀감이 되고자 노력한다. 돈으로 말하자면 난 일가친척이 너무 많아 그들을 보살피는데 쓴다.”
―당신은 큰 역과 작은 역을 막론하고 다 잘 해내는데 그 비결은 무엇인가
“스펜서 트레이시가 이런 말을 했다. ‘한 장면을 찍을 때 상대방이 멋있게 보이도록 노력하라.’ 그 말이야 말로 훌륭한 연기 철학의 한 부분이라고 하겠다. 상대방을 보기 좋게 함으로써 나의 연기도 향상되는 것으로 연기란 항상 양방통행이라고 본다. 이 영화에서도 패트리샤와 나는 이 가르침을 따라 했다. 이 영화가 드라마이자 코미디로서 보기 좋은 것도 거기서 연유한다.”
―당신은 배우로서 대뜸 정상에서 시작했는데 그 자리를 지키기가 얼마나 힘든가.
“‘간디’를 말하는가본데 난 이미 그 전에 15년간 무대에서 연기를 했다. 셰익스피어의 27편의 작품 중 17편에 나왔다. 그 같은 경험이 내게 스태미나를 주고 또 얘기꾼으로서의 기쁨도 준다. 그러나 사실 ‘간디’가 아니었더라면 난 지금 이 자리에 있지 않을 것이다. 정말로 아름다운 기회였다.”
―다완은 터번을 쓴데다가 피부색 때문에 “오사마”라고 조롱을 당했는데 당신도 실제로 인종차별을 당해 본 적이 있는가.
“내가 인종차별에 관해 배운 가장 중요한 계기는 유대인 인종차별 반대운동의 태두라 할 수 있는 사이먼 위젠탈의 기관을 위해 영화를 만들면서였다. 그 때 난 소위 개화된 인간이 다른 인간에게 행할 수 있는 끔찍한 만행에 대해 배우면서 치를 떨었다. 그런 행위가 더 없게 하려면 지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세월과 함께 스스로가 보다 현명해졌다고 생각하나.
“그랬으면 하는 것이 내 바람이다. 연기란 것은 남의 말을 경청하고 상대를 믿으며 또 외교적인 일이기도 해서 난 그 같은 경험을 통해 내 삶이 상당히 풍족해졌다고 생각한다.”
―이 영화는 서로 다른 문화의 만남의 얘기인데 그런 만남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어떤지.
“영화가 얘기하고자 하는 점은 한 사람이 자기와 다른 문화에 관해 배울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자기 가족이나 문화의 테두리 밖으로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난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이 이 같은 사실을 깨닫기를 진정으로 바란다. 그러면 그들이 다음에 택시를 탔을 때 머리에 터번을 두른 운전사를 보면 ‘안녕하세요’라고 인사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한국일보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1230@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